야권이 ‘십고초려(十顧草廬)’했던 김 전 교육감이 출격함에 따라 6·4 지방선거 판세가 요동칠 전망이다.
김 전 교육감은 이날 경기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버스공영제를 단계적으로 실시해 무상대중교통의 첫걸음을 떼겠다”며 보편적 복지를 전면에 내걸었다. 이는 2010년 6·2 지방선거에서 범야권이 중도층을 공략한 ‘친환경 무상급식’의 제2버전인 셈이다.
그는 핵심 정책으로 △책임 의료체계 등 복지공동체 건설 △혁신대학 네트워크 구축 △동북아 평화 구상 등을 제시했다. 김 전 교육감은 이를 ‘복지·혁신·일자리·평화’의 ‘3+1’ 정책이라고 설명했다.
김 전 교육감은 기자회견을 마친 뒤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 부인인 이희호 여사를 예방했다. 13일에는 김 전 대통령 묘역 참배, 14일에는 김해 봉하마을 고 노무현 전 대통령 묘역 참배 및 권양숙 여사를 예방한다. 야권 지지층 결집을 위한 행보로 보인다.
김 전 교육감의 출마로 경기지사 선거는 민주당 김진표·원혜영 의원의 통합신당 3파전, 새누리당 남경필·정병국·원유철 의원과 김영선 전 의원의 4파전 양상으로 치러지게 됐다. 중진급 의원들이 잇따라 출마하면서 경기지사 선거판이 커진 것이다.
김 전 교육감의 선거 출마에 기존 출마자들은 잇따라 견제를 보냈다.
민주당 김진표 의원은 이날 아주경제와의 통화에서“후보 경쟁력과 정책실천 의지 등을 평가할 수 있는 치열한 정책토론이 전제돼야 하고, 어떤 방식이든 당원들의 의사를 묻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새누리당 정병국·원유철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편 가르기 싸움터 될까 걱정”, “5년 교육실험 실패” 등의 발언을 써가며 맹공을 날렸다.
관전 포인트는 김 전 교육감의 고지 탈환이다. ‘민주화를위한전국교수협의회’ 공동의장 출신인 김 전 교육감은 진보진영 내부에서 잔뼈가 굵은 인사다.
다만 현실정치 한복판에 서본 적이 없는 정치신인에 불과하다. 대중적 지지도는 높지만 조직이 전무해 통합신당 예선 통과조차 장담할 수 없는 처지다. 또한 진보적 성향으로 지지층 결집에는 성공할 수 있지만, 표 확장성에 한계를 드러낼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윤희웅 민정치컨설팅 여론분석센터장은 “김 전 교육감의 진보적 성향 등은 야권 지지층에게 어필, 새누리당과 대립각을 세우는 데 용의할 수 있다”면서도 “조직이 없는 점과 이념 간 대립을 불러올 수 있는 점은 과제”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