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장애인 일자리 4330개 제공… 공무원 206명 등 공공분야 2961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3-13 09:0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강승훈 기자 = 서울시가 올해 공공분야 2961개 등 장애인 일자리 4330개를 제공한다. 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4 장애인 일자리 확충계획'을 13일 발표했다.

먼저 서울시는 올해 장애인 공무원 206명 등 시와 산하기관에서 총 246명을 신규 채용한다. 또 재래시장 관리 및 캠핑장 운영 보조요원 등을 새로 추가해 일자리 분야를 기존 19개에서 24개 분야로 넓힌다.

공공분야 장애인 일자리(일반형ㆍ복지형ㆍ특화형)를 전년보다 181명이 늘어난 1269명을 고용할 계획이다. 이 가운데 사무보조, 환경도우미, 주차단속 보조원 등 복지일자리의 중증장애인 참여비율을 45%(과거 41.8%)로 확대한다.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은 115개소에서 120개소로 5개소를 확충해 150명을 새롭게 뽑는다.

직업재활시설은 화장지, 복사지 등 임가공 시설 위주의 품목 전환, 운영평가용역 실시, 기능보강, 제품디자인 개선, 시장조사를 통한 판로 확대, 전문가 컨설팅 등을 통해 경영개선에 나선다.

민간분야는 △장애인 세차사업단 운영 △레저서비스 분야 발달장애인 일자리 발굴 △호텔리어, 영농, 양봉, 프랜차이즈 연계 고용 확대 △특수학교 졸업자 직장 인턴십 프로그램과 장애인 취업박람회 활성화 등에서 질적 수준이 높은 일자리 1369개를 마련할 예정이다.

신규 발굴한 장애인 세차사업단은 장애인 2명, 노숙인 2명,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1명 모두 5명이 1팀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친환경 이동세차, 광택, 월정액 세차사업 등의 일을 한다.

심각한 취업난에 직면해 있는 특수학교 졸업(예정자) 청년장애인을 대상으로 민간업체 직장체험 인턴십과 연계 고용을 추진한다.

상담 및 알선 중심의 장애인 취업지원 서비스는 '1대 1 맞춤형 훈련프로그램' 지원으로 전환시킨다. 장애인 구인업체의 다양한 수요에 적절하게 대응, 취업 가능성을 확대하기 위한 것이다.

선(先)취업, 후(後)훈련이 핵심이다. 구인업체의 채용 요구사항을 훈련인원 모집시부터 구체적으로 반영하고, 취업인원 및 직무범위 등을 사전에 약정하는 체계다.

강종필 시 복지건강실장은 "장애인에게 일자리는 가장 적극인 자립지원 방안이자 복지 지원책"이라며 "민간기업의 참여 없이는 지속적인 장애인 일자리 확대가 어려운 만큼 많은 관심과 참여를 당부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