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최신형 기자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의 통합신당인 ‘새정치민주연합’이 16일 창당준비위원회 발기인대회를 마무리하면서 남은 창당 일정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오는 26일로 예정된 중앙당 창당대회에 앞서 정당법에 따라 5개 이상의 시·도당을 선거관리위원회에 등록해야 한다.
새정치민주연합 신당추진단에 따르면 오는 18일 경기도당을 시작으로, 대전(20일 오전 11시), 광주(20일 오후 3시), 인천(21일 오후 3시), 부산(22일 오후 2시), 서울(23일 오후 2시) 등에서 창당대회를 개최한다.
이에 따라 광역단체장 경선 룰은 빨라야 내달 중순경에 정해질 전망이다.
최재천 전략홍보본부장은 “선관위원회 경선 위탁 기한(4월 25일)을 마지노선으로 삼고, 다툼이 덜한 곳에서 먼저 경선을 치르고 순차적으로 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새정치민주연합이 이 과정에서 불협화음을 낼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 나온다.
새정치연합이 기존 민주당의 경선 규정(당원 50%+일반시민 50%)을 수용하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경선 룰 합의가 양측 화학적 결합의 최대 변수인 셈이다.
한편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은 이날 오후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개최한 창당 발기인대회에서 신당의 당명을 ‘새정치민주연합’으로 확정했다. 약칭은 ‘새정치연합’이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오는 26일로 예정된 중앙당 창당대회에 앞서 정당법에 따라 5개 이상의 시·도당을 선거관리위원회에 등록해야 한다.
새정치민주연합 신당추진단에 따르면 오는 18일 경기도당을 시작으로, 대전(20일 오전 11시), 광주(20일 오후 3시), 인천(21일 오후 3시), 부산(22일 오후 2시), 서울(23일 오후 2시) 등에서 창당대회를 개최한다.
이에 따라 광역단체장 경선 룰은 빨라야 내달 중순경에 정해질 전망이다.
최재천 전략홍보본부장은 “선관위원회 경선 위탁 기한(4월 25일)을 마지노선으로 삼고, 다툼이 덜한 곳에서 먼저 경선을 치르고 순차적으로 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새정치민주연합이 이 과정에서 불협화음을 낼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 나온다.
새정치연합이 기존 민주당의 경선 규정(당원 50%+일반시민 50%)을 수용하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경선 룰 합의가 양측 화학적 결합의 최대 변수인 셈이다.
한편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은 이날 오후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개최한 창당 발기인대회에서 신당의 당명을 ‘새정치민주연합’으로 확정했다. 약칭은 ‘새정치연합’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