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작년 말 현재 다중채무자의 대출액은 312조8000억원으로 전년 동기에 비해 6조원 증가했다.
다중채무자의 대출은 2010년 281조원에서 2011년 307조5000억까지 늘어났다. 2012년에는 306조8000억원으로 소폭 줄었지만 지난해 다시 증가세로 전환한 것이다.
다만 채무재조정 역할을 한 국민행복기금 등 정부 지원의 영향으로, 다중채무자 수는 전년보다 3만명 줄어든 325만명을 기록하며 2년째 감소했다.
다중채무자의 1인당 대출액은 작년 말 현재 9620만원이었다. 2010년 8830만원에서 2011년 9180만원, 2012년 9260만원으로 이는 가파르게 증가하는 추세다.
문제는 다중채무자 중 은행→저축은행→대부업체 등을 전전하며 빚을 갚기 위해 또다시 빚을 내는 취약계층이 다수 포함돼 있다는 것이다. 작년 6월 현재 다중채무자 중 저신용자는 32.7%, 중신용자는 37.4%를 차지했다.
소득의 대부분을 원리금 상환에 쓰거나 은행 문을 넘지 못한 계층이 상대적으로 고금리인 2금융권에 몰린 것을 감안하면 취약계층의 빚 문제는 악화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3월 기준으로 한은의 '가계 금융ㆍ복지 조사'를 살펴보면 소득 대비 원리금상환 비율(DRS)이 40% 이상인 가구는 전체 가구의 11.1%로 전년동기(8.7%)보다 확대됐다.
또한 보험, 저축은행, 상호금융, 대부업체 등 비은행권의 대출 비중은 작년말 처음으로 전체 가계대출의 50%를 넘어섰다.
이주열 차기 한은 총재 내정자는 지난 19일 국회 청문회에서 "가계부채가 금융시스템의 위기로는 번지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저소득층의 가계부채는 더 악화되지 않도록 신경을 써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