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곡~영중 도로건설공사 노선도. [이미지 제공 = 서울지방국토관리청]
아주경제 이명철 기자= 서울지방국토관리청이 도로공사 용지 보상에 국가 공간정보를 활용한 보상시스템을 최초로 도입한다고 27일 밝혔다.
공공보상 정보지원 시스템은 토지·건물 위치, 면적, 공시지가, 소유자 등 보상정보를 지적도 및 항공사진을 기반으로 실시간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서울청은 지난해 전곡~영중 도로건설공사를 시범사업으로 선정했다. 전곡~영중 공사는 연장 13.9km 구간으로 보상비가 211억원에 달한다.
시범사업 기간 동안 항공사진 촬영과 3차원 지도인 브이월드, 부동산 관련정보시스템 간 연계 등을 진행했으며 한국감정원과 함께 실시한 시범사업 편입 보상정보 전산화 작업을 지난달 마무리했다.
지금까지 보상을 위한 기본조사는 업무담당자가 토지·건축물, 소유자 정보 등을 직접 조사, 입력하는 수작업이었으나 이번 전산화작업으로 쉽게 원하는 보상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됐다. 보상정보를 취득하는데 걸리던 시간도 2~3개월에서 2~3일 수준으로 크게 단축된다.
서울청은 공간정보 보상시스템을 확대해 토지 등 소유자는 물론 일반 국민에게도 보상관련 정보를 맟춤형으로 제공해 이용자 편의가 증진될 것으로 기대했다.
서명교 서울청장은 “이번 전산화작업 완료를 통해 보상업무의 효율성과 투명성을 더욱 높이게 돼 정부 3.0을 구현하게 됐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