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원 나노 프린팅 기술 개발

  • 김호영 교수, 전기방사공정 이용

김호영 교수

아주경제 이한선 기자 = 국내연구진이 3차원 프린팅 기술과 나노 기술이 접목된 원천 기술을 개발했다.

서울대 공대는 김호영 기계항공공학부 교수가 3차원 프린팅 기술을 나노 크기 수준에서도 구현할 수 있는 기초 연구에 성공했다고 27일 밝혔다.

관련 논문은 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처 3월호에 리서치 하이라이트로 소개됐다.

김 교수는 현재 상용화된 3차원 프린터가 한 층씩 쌓아나가는 적층 가공법을 나노 크기로 구현하는 방법에 대한 기초 연구를 실시했다.

전기방사 기술로 고분자 나노 섬유를 생성, 이를 원하는 위치에 한 가닥씩 쌓는 데 성공했다.

이 과정에서 나노벽과 같은 구조물을 세계 최초로 제작했다.

이번 연구가 3차원 프린팅에 적용되면 나노 크기의 3차원 구조물 제작이 더욱 쉽고 정밀해질 전망이다.

기술은 복잡한 화학공정이나 광학공정 없이 손쉽게 나노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이미 만들어진 구조물 위에 그대로 적층시켜 다양한 특성을 부가할 수도 있다.

김 교수는 “전 세계적으로 3차원 프린팅이 산업적, 기술적 화두가 되는 가운데 국내 기술이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정밀도가 더욱 높은 나노 수준의 3차원 프린팅 원천 기술 확보가 절실한 가운데 이 기술이 활용된다면 나노 생체 지지체, 나노 필터, 나노 로봇 등 차세대 스마트 나노 기술로 확대가 가능할 것”이라며 “향후 3차원 나노 프린팅 장비 개발이 본격화된다면 다양한 산업적, 학문적 경쟁력 제고에 큰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돼 다양한 특성을 가진 물질로 나노 구조물을 제작하고 특정 환경에서 반응하는 스마트 물질이나 구조체 개발에 연구를 응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