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베이징특파원 조용성 기자 = 한국 정부가 중국 정부에 인도한 한국전쟁 당시 사망 중국군 유해 437구가 28일 중국 랴오닝성 선양(瀋陽)에 안치됐다.
중국 측은 이날 오전 인천공항에서 우리 측으로부터 인수한 유해들을 특별기편으로 선양공항으로 옮긴 뒤 오후 1시께(현지시간) 선양 시내 '항미원조(抗美援朝)열사능원' 부지 내에 새로 건립한 시설에 안치했다고 중국신문사가 이날 전했다.
유해를 실은 군용트럭의 적재함에는 '영웅의 귀가를 맞이한다', '열사의 업적은 영원히 역사에 기록된다', '열사는 영원히 잠들지 않는다' 등의 문구가 적힌 현수막들이 걸렸다. 중국 당국은 유해 안치 장소인 열사능원의 외부인 출입을 진입로부터 전면 통제하고 안치 의식을 철저하게 내부 행사로 진행했다.
선양의 유명 관광지인 베이링(北陵)공원 동쪽에 자리 잡은 열사능원은 전체 부지면적이 24만㎡에 달하며 연면적 2000㎡ 규모의 2층짜리 기념관과 기념비, 전사자 묘역, 광장, 녹지 등으로 구성돼 있다.
1951년 처음 건립돼 1999년 개축된 열사능원은 중앙의 기념비를 둘러싸고 동·서·북 방향에 한국전쟁 전사자 가운데 중국 당국이 특급·1급 영웅 등으로 분류한 123명의 중국군 무덤이 있다.
이날 열사능원 정문 밖에는 내외신 기자들과 멀리 상하이, 후베이, 난징 등지에서 찾아온 한국전쟁 참전 중국군 후손, 주민 등 100여 명이 몰려 유해 송환에 대한 높은 관심을 반영했다.
한국전쟁에서 돌아오지 않은 아버지와 삼촌 등을 반세기 넘게 기다려온 중국인 후손들은 이번에 송환된 유해들에 대한 DNA 감정을 통해 신원이 확인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중국군 197사단 소속으로 한국전쟁에 참전했다는 차오수이후(曺秀湖·84) 씨는 "뉴스를 보고 유해 송환 사실을 알게 돼 안치 장소를 찾았다"면서 "한 때 적이었지만 이제는 중국과 친밀한 관계가 된 한국 정부가 큰 결정을 내려 유해들이 고국에 돌아올 수 있게 된 것에 감사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