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03/31/20140331121947539489.jpg)
타이완 시위대의 모습.(사진/연합)
아주경제 베이징특파원 조용성 기자 = 대만 학생운동 단체의 대(對) 중국 서비스 산업시장 개방 반대 시위가 2주째 이어지면서 '마잉주(馬英九) 총통 하야' 구호가 나오는 등 시위가 격화되고 있다. 대만 정부는 이를 풀어낼 뾰족한 수를 찾지 못하면서 난맥을 드러내고 있고, 갈길 바쁜 양안(兩岸·중국과 대만) 교류는 연거푸 타격을 입고 있다.
연합보 인터넷망은 31일부터 대만을 방문할 예정이던 유취안(尤權) 중국 푸젠(福建)성 당 서기 일행의 일정이 취소됐다고 전했다. 푸젠성 방문단은 대만 집권 국민당 우보슝(吳伯雄) 명예주석을 예방하고 타이중(臺中), 가오슝(高雄)시와 먀오리(苗栗)현 등을 방문, 경제·사회분야 교류 활동을 벌일 예정이었다.
푸젠성 측은 대만 학생운동 단체에 의한 입법원(국회) 점거 사태 등이 안정되고 나서 다시 방문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라고 대만 측에 통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신문은 4월과 5월 각각 대만을 찾을 계획인 중국 장쑤(江蘇)와 허난(河南)성 교류단의 대만 방문도 현재로선 불투명한 상황이라고 보도했다.
앞서 대만 행정원 대륙위원회는 중국 국무원 대만사무판공실 장즈쥔(張志軍)의 대만 답방 일정이 학생 시위사태 등의 영향으로 잠정 연기됐다고 밝힌 바 있다. 중국 측은 제2차 양안 장관급 회담도 당분간 진행이 어렵다는 뜻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중국의 준(準) 정부 기구 양안 대화채널인 해협양안관계협회(해협회)의 천더밍(陳德銘) 회장은 30일 광저우(廣州)에서 열린 세미나에서 "지난해 6월 체결된 양안 서비스무역협정이 대만 국회를 통과하지 못한다면 상당히 유감스런 일"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대만내 시위는 더욱 격화되고 있는 형국이다. 대만 학생운동 단체가 30일 타이베이에서 개최한 대규모 시위에는 경찰추산 11만6000여명이, 시위주체측 추산 50만 명 이상이 참가했다. 참가자들은 '마잉주 총통 하야', '민주주의를 살리고, 나라를 팔아먹지 말라'는 등의 구호를 외쳤다. 영국 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최근호에서 마잉주(馬英九) 총통의 친중국 정책이 '진퇴양난'의 상황에 빠졌다고 분석했다. 중국 전문 분석가들도 마잉주 정부의 2년여 잔여 임기 동안 대중국 정책이 상당 부분 표류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학생운동 단체는 지난 18일밤 집권 국민당이 일방적으로 서비스무역협정 비준안을 상임위에서 통과시키자 비준안의 입법원 본회의 심의 저지를 위해 본회의장 점거 농성에 들어갔다. 이들은 이 협정이 발효되면 대만 경제의 중국 종속이 가속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마 총통은 "지난해 6월 양안간에 체결된 서비스무역협정을 철회하라는 요구는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한편, 중국과의 서비스무역협정에 찬성하는 단체의 맞불시위도 벌어졌다. 보수단체인 공민정의연맹 소속 회원들은 이날 오후 흰색 티셔츠 차림으로 학생단체 집회 현장과 가까운 타이베이 메인스테이션에서 집회를 하고 입법원 점거 중단, 서비스협정 조속 심의 등을 주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