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대학교박물관(관장 이남석)이 문화재청의 허가를 받아 발굴조사하는 과정이었다. 지난해 9월 14일 공산성 북서쪽 석축성벽 일부(9m)가 붕괴되었는데, 붕괴 구간의 성벽 축조 현황에 대한 고고학적 확인을 위해 긴급 발굴조사를 진행했다.
발굴조사 결과 백제 시대 판축 성벽 원형과 근대 성벽 유구까지 단계별로 확인되어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다.
발굴 조사 지역은 1872년 제작된 지도에 암벽으로 표현될 정도로 암반이 많은 구간이다.
문화재청은 "1960년대 말 사진에서 산사태가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면서 "발굴 과정에서 1950~70년대의 유물(수통, 사탕 봉지 등)이 확인되었는데, 이 점은 훼손으로 인해 지속적인 개․보수가 이뤄졌던 지역"이라고 설명했다.
확인된 백제 시대 성벽의 판축부는 암벽을 ‘ㄴ’ 자 모양으로 인위적으로 깎은 후 약 3m 너비로 판축다짐하면서 조성하였으며, 판축된 성벽의 기저부에서 백제 시대 기와편이 다수 출토됐다. 이를 통해 당시 암반지역에 이르기까지 대대적인 축성(築城)작업이 이루어졌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동안 백제 한성 도읍기의 풍납토성과 사비 도읍기의 부소산성 성벽에 대해서는 조사를 통해 축조기법이 밝혀졌으나, 웅진 도읍기 왕성인 공산성의 축조기법은 규명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번 조사를 통하여 일부 구간에서나마 성벽의 축조기법이 구체적으로 확인됨으로써, 백제 한성기와 사비기 성벽 축조기법의 기술적 연결고리를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는 의미를 가진다.
문화재청과 충청남도, 공주시는 이번 발굴 조사지역에 연결되는 동쪽 성벽구간(9m)에 대한 추가 발굴조사(14년 4~5월)를 진행함으로써, 공산정 일대 성벽의 축조현황에 대하여 구체적인 자료를 파악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