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박이라는 칼을 버리고 대화라는 손을 내민 무보의 노조 합의 방식이 정상화 방안 이행을 위한 노사간 갈등 해결을 위한 하나의 사례로 꼽히고 있다.
무보는 지난달 19~20일 양일간에 걸쳐 정상화 계획 합의에 대한 전 직원 투표를 진행한 결과, 67%의 찬성을 기록했다. 과반수 이상의 직원들이 올해 1인당 복리후생비를 32% 삭감하고, 휴가 및 경조금 등 복리후생 관련 8대 항목을 공무원 수준으로 개편하는데 뜻을 모은 것이다.
이에 공사는 경영정상화 방안과 관련된 제규정을 개정해 26일자에 이행을 완료했다. 이처럼 무보가 노조의 결단을 이끌어낸 데는 지난해 12월 경영정상화방안 이행을 위해 설치된 '정상화방안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의 역할이 컸다. 무보의 경영진과 비대위는 노조와 지속적인 대화와 협상을 통해 노조의 결단을 이끌어 냈기 때문이다.
또 지난해 12월 취임한 김영학 사장의 진정한 소통도 한 몫을 더했다. 김 사장 취임 당시 노조는 공공기관 정상화 방안에 강한 반발을 보이고 있었으며, 방안계획 수립 및 이행에 시간이 촉박한 상황이었다. 하지만 김 사장은 섣부른 약속이나 노조를 압박하는 방법보다는 조금 시간이 걸리더라도 소통하는 방향을 선택했다.
김 사장은 취임 직후 전 직원이 참여하는 '전 직원과의 대화'를 취임행사로 갈음했으며, 이후에도 20~30대 직원들을 주축으로 한 '퓨쳐 보드(Future Board)'를 구성해 젊은 직원들의 의견을 청취했다. 또 모든 직원들과 그룹별 간담회를 20여 차례 개최하는 등 조직 상하간 신뢰를 쌓기 위해 노력했다.
김 사장은 경영자의 비전을 직원들과 공유하기 위한 노력도 기울였다. 김 사장은 지난달 13일 비전설명회를 열고 수출중소기업 지원 기관으로서의 정체성을 확고하게 정립하고,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악화된 기금재정상황을 조기에 개선해 국민에게 신뢰를 받는 공기업으로 만들 겠다는 강한 의지를 피력했다.
이 같은 김 사장의 끊임없는 소통에 조기 정상화 계획에 반발하던 직원들의 마음을 돌릴 수 있었다. 진정한 의미의 방만 경영은 복리후생비 조금 더 받는 것이 아니라 해야 될 임무를 다하지 못하는 것이라는 사장의 철학을 직원들이 공유하게 된 셈이다.
무보 관계자는 “한 조직이 스스로 개혁한다는 결정을 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닌데, 노사가 어느 때보다도 회사의 미래에 대해서 허심탄회한 의견 교환이 있었다”며 “이런 소통 과정을 통해 대부분의 직원들이 국민들로부터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조직의 제2의 도약을 위해 가장 먼저 달성해야 하는 과제라고 생각하게 됐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