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입자와 반입자 섞이는 현상 규명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4-03 12:0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국내연구진, 우주생성시 존재했던 반물질 행방 실마리 찾아

고병록 박사

아주경제 이한선 기자 = 국내연구진이 우주생성시 존재했던 반물질의 행방에 대한 실마리를 찾았다.

미래창조과학부는 고려대 물리학과 고병록 박사가 주도하고 원은일 교수가 교신저자로 참여한 국내 연구진이 충돌실험을 통해 우주를 이루는 기본입자가 그 반입자와 섞이는 현상을 규명했다고 3일 밝혔다.

연구는 우주 생성초기에 기본입자와 짝을 이루며 존재했지만 이제는 사라지고 없는 반물질의 행방에 대한 실마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우주를 이루는 기본입자에는 전하만 반대이고 나머지 성질은 같은 반입자가 있다.

우주 생성 초기에는 반입자로 이뤄진 반물질이 물질과 같은 양으로 존재했으나 현재는 물질만 존재하는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반물질의 행방에 대한 질문은 과학에서 가장 중요하게 던지는 질문 중 하나다.

이번 연구는 미래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돼 국제학술지 피지컬 리뷰 레터스지 지난달 17일에 게재됐다.

우주를 이루는 기본입자의 하나인 매혹쿼크 중간자는 반입자와의 뒤섞임 가능성 때문에 각국 연구진이 그 증거를 찾으려고 애쓰지만 전자-양전자 충돌데이터로는 결정적인 증거가 부족한 상황이었다.

매혹쿼크 중간자는 우주를 이루는 기본입자인 6개의 쿼크 중 하나인 매혹쿼크와 다른 쿼크 2개가 뭉쳐진 계로 약 10-13 초 정도만 존재하다가 붕괴하는 양자상태다.

연구팀은 매혹쿼크 중간자와 반입자와의 섞임 현상이 99.9999% 이상의 신뢰성을 가지고 반드시 일어난다는 것을 전자-양전자 충돌실험을 통해 입증했다.

기존 실험에서 섞임 현상에 대한 힌트는 있었지만 전자와 양전자를 빛의 속도와 매우 가깝게 충돌시켜 나오는 파편입자들의 운동량이나 에너지 등을 정밀하게 측정하는 단일 전자-양전자 충돌실험만으로 명확하게 규명된 적은 없었다.

반입자와의 섞임현상에 대한 실험적 증거를 얻게 됨에 따라 향후 사라진 반물질의 근원에 대한 후속연구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진은 전자와 양전자를 빛의 속도에 가깝게 가속시켜 서로 충돌시킨 후 발생하는 파편 가운데 매혹쿼크의 붕괴시간을 측정했다.

매혹쿼크 중간자는 자연스럽게 붕괴하는 반면 반입자는 예측하지 못하는 방식으로 붕괴되는 점에 착안해 이 두 붕괴방식의 비율을 측정한 결과 입자와 반입자의 섞임이 없을 가능성은 0.00005%로 나타났다.

고 박사는 “이번 연구는 기존 연구를 뛰어넘어 단일 전자-양전자 가속기 기반 실험으로 매혹 중간자 섞임 현상을 발견한 연구”라고 밝혔다.

원 교수는 “최근 발견된 힉스입자의 특성을 정밀 측정할 수 있는 유일한 도구인 차세대선형가속기의 전 단계라고 할 수 있는 전자-양전자가속기를 활용한 것으로 관련 분야 국내 연구진 주도의 후속연구가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