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주진 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3일 제주에서 열린 제66주년 4·3희생자 추념식에 불참했다.
이날 오전 제주시 봉개동 4·3평화공원에서 처음으로 국가행사로 봉행된 추념식에는 박 대통령 대신 정홍원 국무총리가 참석했다.
박 대통령의 4ㆍ3추념식 불참 이유에 대해 원희룡 새누리당 제주도지사 예비후보는 2일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박근혜 대통령이)건강상 일정을 매우 자제해야 하는 상황에 계신다. 또 한편에서 일부 보수단체들이 제기한 문제에 대해 깊이 생각하고 있다”고 전한 바 있다.
새정치민주연합 제주도당은 이날 논평을 통해 “원 후보의 말대로 국가 차원의 행사로 치러지는 이번 희생자 위령제의 불참 사유마저 보수단체의 문제 제기 때문이라고 한다면 대통령이 분열을 방치하고 조장하는 것은 아닌지, 참으로 안타깝고 유감스러움을 감출 수 없다”고 말했다.
이 같은 야권의 비판에 대해 일단 청와대는 말을 아끼는 분위기다.
한편, 4ㆍ3추념식은 안전행정부가 주최하고 제주4·3평화재단의 주관으로 제주 4·3평화공원에서 '어둠에서 빛의 역사로'라는 주제로 진행됐다.
이날 위령제에는 정홍원 총리를 비롯해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 새정치민주연합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 통합진보당 이정희 대표, 정의당 천호선 대표 등 여야 대표들을 비롯해 우근민 제주특별자치도지사, 강창일·김우남·김재윤·장하나 제주지역 국회의원과 박희수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의장 등 각계 인사와 도내·외 유족이 참석했다.
정 총리는 추념사를 통해 "오늘 4·3사건이 일어난 지 66년째인 이 날을 국가기념일로 지정하여 '4·3희생자 추념식'을 갖게 된 것을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며 "그동안 '위령제'로 치러지던 이 행사를 금년에는 정부가 주관하는 '추념식'으로 거행하게 됐다"고 밝혔다.
정 총리는 또 "먼저 4·3 당시 안타깝게 희생되신 영령들의 영전에 머리 숙여 애도의 뜻을 표하면서 명예회복을 소망해온 희생자 가족 여러분의 아픔이 덜어지게 되기를 바란다"며 "아울러 많은 슬픔을 안고 살아오신 유가족과 제주도민 여러분께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정 총리는 "4·3희생자 유가족과 제주도민 여러분, 우리는 지금 제주의 역사를 다시 쓰고 있다"며 "이번 추모식의 슬로건처럼 '어둠의 역사를 빛의 역사로', '갈등을 넘어 상생과 화합으로' 나아가고 있고, 이는 제주도민 여러분이 한마음 한뜻이 되어 이룩한 아름다운 결실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정 총리는 또 "4·3사건의 당사자라고 할 수 있는 '제주 4·3희생자 유족회'와 '제주 경우회'가 화해의 자리를 함께 한 것은 큰 의미가 있다"며 "정부는 지난 10여 년간 특별법 제정과 공식 사과, 평화공원과 기념관 건립 그리고 위령사업 등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고, 이러한 노력에 이어 박근혜 대통령이 약속한 대로 지난달 24일 국가기념일 지정을 공표함으로써 진실규명과 명예회복을 바라는 여러분의 뜻을 받들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또 정 총리는 "제주는 이제 과거의 아픔을 말끔히 씻고 평화와 번영의 미래로 힘차게 발돋움하게 됐다'며 "화합과 상생의 정신은 우리 모두가 실천해야 할 시대정신이라고 생각한다. 이는 우리 사회의 갈등과 반목을 해소하고 '국민대통합'을 이룰 수 있는 밑거름이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정 총리는 또 "제주는 화합과 상생의 정신을 미래지향의 창조적 에너지로 더욱 승화시켜 온 나라로 확산되도록 해야 할 것"이라며 "그런 면에서 오늘의 추념식이 대한민국이 희망찬 미래를 향해 한 걸음 더 도약하는 뜻깊은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정 총리는 또 "먼저 4·3 당시 안타깝게 희생되신 영령들의 영전에 머리 숙여 애도의 뜻을 표하면서 명예회복을 소망해온 희생자 가족 여러분의 아픔이 덜어지게 되기를 바란다"며 "아울러 많은 슬픔을 안고 살아오신 유가족과 제주도민 여러분께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정 총리는 "4·3희생자 유가족과 제주도민 여러분, 우리는 지금 제주의 역사를 다시 쓰고 있다"며 "이번 추모식의 슬로건처럼 '어둠의 역사를 빛의 역사로', '갈등을 넘어 상생과 화합으로' 나아가고 있고, 이는 제주도민 여러분이 한마음 한뜻이 되어 이룩한 아름다운 결실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정 총리는 또 "4·3사건의 당사자라고 할 수 있는 '제주 4·3희생자 유족회'와 '제주 경우회'가 화해의 자리를 함께 한 것은 큰 의미가 있다"며 "정부는 지난 10여 년간 특별법 제정과 공식 사과, 평화공원과 기념관 건립 그리고 위령사업 등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고, 이러한 노력에 이어 박근혜 대통령이 약속한 대로 지난달 24일 국가기념일 지정을 공표함으로써 진실규명과 명예회복을 바라는 여러분의 뜻을 받들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또 정 총리는 "제주는 이제 과거의 아픔을 말끔히 씻고 평화와 번영의 미래로 힘차게 발돋움하게 됐다'며 "화합과 상생의 정신은 우리 모두가 실천해야 할 시대정신이라고 생각한다. 이는 우리 사회의 갈등과 반목을 해소하고 '국민대통합'을 이룰 수 있는 밑거름이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정 총리는 또 "제주는 화합과 상생의 정신을 미래지향의 창조적 에너지로 더욱 승화시켜 온 나라로 확산되도록 해야 할 것"이라며 "그런 면에서 오늘의 추념식이 대한민국이 희망찬 미래를 향해 한 걸음 더 도약하는 뜻깊은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