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코드는‘불금(금요일 밤)’을 노린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4-03 11:3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장윤정 기자 = 대규모 악성코드 유포 시도가 주말에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지난해 탐지된 악성코드 은닉사이트를 분석한 결과, 대규모 악성코드 유포가 주말에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은 2013년 한 해 동안 탐지된 악성코드 은닉사이트(경유지, 유포지)를 분석한 ‘대규모 악성코드 유포 동향 분석’ 보고서를 3일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탐지된 악성코드 은닉사이트가 2012년에는 1만 3018건이었던 것에 비해 2013년에는 36% 증가한 1만 7750건으로 집계돼 매년 그 수치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규모 악성코드 유포 공격의 70%가 주말(금요일 오후 6시~ 일요일) 동안에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말에는 서버에 대한 관리자의 기술적 조치가 미흡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특히 방문자 수가 많은 홈페이지(웹하드, 커뮤니티, 언론사 등)가 주말 동안 경유지로 악용되고 있다. 500개 이상의 대량 경유지와 연결되는 유포지도 확인되는 등 대규모 경유지를 통해 감염 PC를 신속히 확보하기 위해 악성코드 유포가 점차 대형화되는 추세로 나타났다.

유포된 악성코드 유형은 원격제어 악성코드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감염 PC를 공인인증서 탈취, 개인정보 유출, 추가적인 악성코드 다운로드, DDoS 공격 등 다양한 용도로 지속적으로 악용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악성코드 유포 예방 및 대응을 위해 주기적인 취약점 점검 등 주의가 요구된다. 일반 이용자는 인터넷 브라우저, 자바 프로그램 등에 대한 보안 업데이트를 정기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또한 서버 관리자는 홈페이지가 악성코드 유포에 악용되지 않도록 취약점을 사전에 점검하고, 서버에 웹셸 탐지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지 정기 점검을 수행해야 한다.

참고로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운영하고 있는 툴박스 홈페이지(toolbox.krcert.or.kr)에서 웹셸 탐지 프로그램 ‘휘슬(WHISTL)’ 및 ‘원격 홈페이지 취약점 점검 서비스’ 등을 무료로 신청할 수 있다.
 

2013년 발생된 대량 경유지 악용 악성코드 유포 사고 시점을 보면 대규모 악성코드 유포 공격이 주로 주말(금요일 오후 6시 이후 ~ 일요일)에 집중적으로 발생한다는 것이 확인(전체 사고의 70%가 주말에 발생)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