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는 이날 입장자료를 통해 "지금까지 밝혀진 근거에 따르면 북한의 소행으로 판단된다"며 이같이 설명했다.
국방부는 당초 추락한 소형 무인기에 대해 시험비행으로 평가했지만 비행 및 촬영 방식 등을 정밀 분석해 정찰목적으로 평가를 변경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는 "정찰총국이 2010년 10월 이번 소형 무인기 장착엔진을 포함한 중국산 무인항공기 및 각국 소형항공기용 엔진자료를 수집한다는 첩보를 고려할 때 사실일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또 추락한 무인기의 생산방식과 관련, "대량 생산이 가능토록 '금형 방식'으로 제작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파주에서 추락한 무인기에 북한이 자체 개발한 '자이로센서'가 장착됐다는 일부 언론의 보도에 대해서는 "사실이 아니다"면서 "일본 후타바사에서 제작한 GY352 2축 자이로센서를 2개 장착했다"고 부인했다.
국방부는 또 "북한의 무인기는 4종 정도로 파악하고 있다"며 "북한은 이번에 발견된 소형 무인기가 아닌 자폭형 무인 공격기를 상당수 보유 및 배치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작전보안상 언급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국방부는 "북한의 군사정찰용 무인기나 무인공격기에 대해서는 충분히 탐지와 타격이 가능하다"며 "다만 이번에 추락한 초경량 무인 비행장치는 체공전력에 의한 탐지는 가능하나 24시간 체공전력을 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지상에서의 탐지능력 보강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앞서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일부 선진국에서 (소형 무인기를 탐지할 수 있는 레이더를) 만들어놓은 것이 있으며, 전문가들이 몇 개 제품들을 확인했고, 조만간 그런 것을 구매하기 위한 절차가 이뤄지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김관진 국방장관은 이날 국회 외교·통일·안보 분야 대정부질문 답변을 통해 추락한 북한 무인기와 관련, "북한 것으로 추정되는 무인기가 더 발전하면 자폭기능까지 갖출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시급하게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현재는 초보적 정찰기능을 수행하는 무인기로 보이지만 향후 제어장치 등 고난도 기술을 습득하면 얼마든지 자폭기능까지 가능한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은 2000년대부터 무인기를 개발하기 시작했다면서 "우리 군이 보유한 방공시스템은 크고 정상적인 비행물체에 대한 것이어서 이런 소형(무인기)은 탐지 못했다. 그동안 소형 무인기 탐지에 소홀했던 점을 인정하고 송구스럽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