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령대별 인구수로는 10만명당 9세 이하 진료인원은 남성과 여성이 각각 3만9869명, 3만7657명 이었다.
2008년부터 2012년까지 5개년도 ‘부비동염’으로 인한 진료인원은 대체로 3~4월과 12월에 많고, 8월에 가장 적었다.
2012년 기준 건강보험 총진료비는 4753억원이며, 진료형태별로 외래는 2411억원, 약국은 1933억원이었고, 입원은 409억원이었다.
부비동염 으로 인해 입원한 인원 중 9세 이하는 수술 진료보다는 비수술 진료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정현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부비동염은 감기의 합병증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9세 이하 소아·아동의 경우 성인에 비해 면역기능이 약해 감기에 더 잘 걸리기 때문에 부비동염 또한 더 많이 발생한다"며 "부비동의 입구가 성인에 비해 작기 때문에 코의 점막이 조금만 부어도 더 좁아지는 것도 소아․아동에게 많이 나타나는 원인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