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르텔은 기업 상호간의 경쟁의 제한이나 완화를 목적으로, 동종 또는 유사산업 분야의 기업간에 결성되는 기업담합형태를 말한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8일 오후 3시 법무법인 (유)화우, K&L 게이츠와 공동으로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컨퍼런스 센터에서 ‘미국, EU 및 한국에서의 국제카르텔 제재 강화에 대한 대처방안’이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 날 행사에는 주요 수출기업의 변호인단과 담당 임원 등 130여명이 참석하였다.
박찬호 전경련 전무는 인사말을 통해 “주요 수출시장인 미국, 유럽연합(EU), 중국 등에서 전 방위적으로 카르텔 제재가 강화되는 가운데 우리기업이 외국으로부터 부과받은 과징금 총액이 3조 000억원에 달하고 있다”며, “국제카르텔에 연루되면 과징금 뿐 아니라 임직원 형사처벌, 손해배상소송, 기업 이미지 하락 등 큰 손실을 가져오므로 사전 예방이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디지털 포렌식은 ‘컴퓨터 법의학’이라 부르며, 전자증거물을 사법기관에 제출하기 위해 휴대폰, PDA, PC, 서버 등에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는 디지털 수사과정을 뜻한다.
김 국장은 향후 추진방향에 대해 “자동차, 철강 등 우리 주력 산업의 핵심부품 및 최종재 가격인하를 통해 소비자 후생을 증대시킬 수 있는 산업분야에 카르텔 적발 역량을 집중시킬 예정이며, 직권인지 적발을 높일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과 EU에서의 국제카르텔 규제현황을 발표한 미국 로펌 K&L 게이츠는 ‘정보교환에 대한 카르텔 기소 확대, 경쟁당국의 조사 권한·범위 확대, 역외적용과 국제공조’ 등을 최근의 주요 트렌드로 꼽았다.
또한 카르텔 적발 시 국외 모기업에 대한 책임부과, 개인 형사처벌 및 천문학적 과징금 투하 등 처벌수위가 높아지고 있으므로 기업들이 체계적으로 법률 리스크를 관리해 나가야 한다고 당부했다.
엄치성 전경련 국제본부장은 “국제카르텔 제재에 따른 피해가 큰 만큼 사후 대응보다 적극적 예방이 필요하다”며 “우리기업들의 선제적 대응전략 수립을 위해 앞으로도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며 “공정위 등 우리 경쟁당국과도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