쫌 자잘한 고민이지만 글로벌청과기업 스미후루가 '국민 간식' 바나나를 오랫동안 신선하게 즐길 수 있는 보관법을 소개했다.
스미후루에 따르면 바나나를 보관할 때에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냉장고에 넣어두면 금새 껍질이 까맣게 변색되기 때문이다. 바나나를 저온(10℃ 이하)에 오랜시간 두면 바나나의 호흡작용이 거의 멈춰 질식 상태가 돼 껍질이 검게 된다. 이렇게 변한 것은 맛은 떨어지지만, 먹어도 위생상 문제는 없다.
사과나 배, 단감 등은 0∼2도의 저온에서 보관해야 한다. 그러나 바나나, 토마토, 파인애플 등은 실온(3∼15도)이 좋다. 과일이 건조되는 것을 막기 위해 비닐팩에 싸서 보관할 때는 완전 밀폐보다는 2~3개의 구멍을 뚫어 산소 공급이 잘되게 해준다. 스미후루 관계자는 "사과나 배, 감 등은 에틸렌가스를 방출해 숙성을 촉진한다"며 "이들 과일을 바나나, 양배추, 양상추, 가지, 오이 등과 같이 보관하면 안 된다"고 조언했다.
일반적으로 과일은 다른 과일과 섞어 보관하면 좋지 않다. 하지만 바나나를 바로 먹어야 할 때는 사과와 함께 비닐봉지에 넣어둔다. 이렇게 몇시간 두면 바나나가 빨리 익어 먹기 좋아진다. 이는 배와 사과를 같이 둘 수 없는 원리를 역이용한 방법. 사과는 에틸렌가스가 많이 발생한다. 에틸렌가스가 나오는 토마토, 멜론과 함께 넣어두는 것도 효과적이다.
반드시 냉장보관해야 할 상황이라면 방법이 있다. 꼭지까지 자른 바나나를 신문지로 꼼꼼하게 싼다. 그리고 나서 지퍼백에 넣어 냉장실에 넣어두면 된다. 신문지와 지퍼백이 2중으로 수분을 막아 후숙을 늦춰준다. 단 개별 포장해야 된다.
스미후루가 최근 출시한 네이처스초이스 ‘바나플’을 고르는 것도 방법이다. 바나플은 사과향을 머금고 새콤달콤한 맛을 자랑하는 이색 프리미엄 바나나다. 이 품종은 일반 바나나보다 짧고 통통하고 껍질이 매우 얇다. 껍질을 벗기면 보통 바나나와 같은 흰 과육이 나온다. 껍질이 예민해 쉽게 색이 변하나 과육에는 영향이 없다. 오랫동안 싱싱하고 쫀득하며 기존의 바나나와 달리 냉장보관이 가능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