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이병욱 기자 = 9일 열린 6‧4 지방선거 새누리당 서울시장 예비후보 3자 TV 토론회의 대부분은 정책 대결로 꾸며졌지만, 말미에는 ‘빅딜설’이나 ‘박심(박근혜 대통령 의중) 논란’ 등의 소재를 활용한 상호 비방전도 연출됐다.
포문은 정몽준 의원이 먼저 열었다. 정 의원은 김황식 전 국무총리에게 “선거 (치르는 게) 처음이죠? 힘드시죠?”라며 김 전 총리의 경험 부족을 부각시켰다.
이어 김 전 총리 선거캠프 선대위원장을 맡은 정성진 전 법무장관을 거론하며 “신문에 쓴 글에서 ‘이명박 정부는 한 일이 없고 부패한 정부’라고 비난한 분인데 이명박 정부에서 감사원장과 국무총리를 지낸 김 후보가 이런 분을 선대위원장으로 내세우면 스스로 (자기)부정하는 것 아닌가”라고 비판했다.
이에 김 전 총리는 “법조계 선배로서 존경했기에 모셨지 어떤 칼럼을 썼는지는 알지 못했다”며 “설사 알았다고 하더라도 (그 분이) 소신에 따라 한 일에 대해 제가 뭐라고 할 수 없지 않느냐”고 해명했다.
김 전 총리도 “박 시장과 정 의원이 본선에서 붙으면 야권에서는 재벌 대 서민 구도로 몰고 갈 가능성이 많다”고 역공에 나섰다.
정 의원이 “재벌이라는 말을 사용했는데 재벌·군벌·학벌이니 하는 말은 다 일본말”이라고 길게 설명하자 “요점만 간단히 답하라”고 다그치기도 했다.
정 의원과 이혜훈 최고위원이 김 전 총리를 협공하는 모습도 보였다.
정 의원은 “박심 거론이 선거 승리에 방해가 된다고 말했는데 무슨 뜻인가”라고 물었고, 이 최고위원은 “어느 후보가 자주 사용했었는데, 박 대통령이 누구를 낙점했다는 것 자체가 ‘박심 팔기’이자 대통령을 욕되기 하는 것”이라며 김 전 총리를 겨냥했다.
정 의원은 김 전 총리 측이 제기한 빅딜설에 대해서도 “저까지 시달린다”며 이 최고위원에게 해명을 요구하기도 했다.
포문은 정몽준 의원이 먼저 열었다. 정 의원은 김황식 전 국무총리에게 “선거 (치르는 게) 처음이죠? 힘드시죠?”라며 김 전 총리의 경험 부족을 부각시켰다.
이어 김 전 총리 선거캠프 선대위원장을 맡은 정성진 전 법무장관을 거론하며 “신문에 쓴 글에서 ‘이명박 정부는 한 일이 없고 부패한 정부’라고 비난한 분인데 이명박 정부에서 감사원장과 국무총리를 지낸 김 후보가 이런 분을 선대위원장으로 내세우면 스스로 (자기)부정하는 것 아닌가”라고 비판했다.
이에 김 전 총리는 “법조계 선배로서 존경했기에 모셨지 어떤 칼럼을 썼는지는 알지 못했다”며 “설사 알았다고 하더라도 (그 분이) 소신에 따라 한 일에 대해 제가 뭐라고 할 수 없지 않느냐”고 해명했다.
김 전 총리도 “박 시장과 정 의원이 본선에서 붙으면 야권에서는 재벌 대 서민 구도로 몰고 갈 가능성이 많다”고 역공에 나섰다.
정 의원이 “재벌이라는 말을 사용했는데 재벌·군벌·학벌이니 하는 말은 다 일본말”이라고 길게 설명하자 “요점만 간단히 답하라”고 다그치기도 했다.
정 의원과 이혜훈 최고위원이 김 전 총리를 협공하는 모습도 보였다.
정 의원은 “박심 거론이 선거 승리에 방해가 된다고 말했는데 무슨 뜻인가”라고 물었고, 이 최고위원은 “어느 후보가 자주 사용했었는데, 박 대통령이 누구를 낙점했다는 것 자체가 ‘박심 팔기’이자 대통령을 욕되기 하는 것”이라며 김 전 총리를 겨냥했다.
정 의원은 김 전 총리 측이 제기한 빅딜설에 대해서도 “저까지 시달린다”며 이 최고위원에게 해명을 요구하기도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