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주경제 노경조 기자 = 인터넷 등을 통한 국가기본도의 활용이 쉬워진다.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은 올해 말부터 각종 공공분야의 공간정보시스템, 포털지도 등에서 이용이 가능한 '국가인터넷지도'를 제공한다고 10일 밝혔다.
국가인터넷지도는 데이터 제공 방법, 표현 내용, 갱신 주기 등을 다양화해 민간 포털지도와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동안 국가기본도를 인터넷 환경에서 이용하기 위해서는 변환 및 가공 작업을 거쳐야 했다.
지리정보원은 외국인 관광객과 국내 거주하는 외국인을 위해 일·영·중문 버전도 제작할 예정이다. 색상과 해상도를 다양화해 색각이상자 및 저시력자도 국가인터넷지도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공공분야의 △사회복지(응급실ㆍ야간진료) △안전(대피소ㆍ인명구조) △교통(사고다발지역) 등 공익적인 내용도 확대된다.
이번 국가인터넷지도 구축으로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등은 약 300억원의 예산을, 구글지도 등 해외지도를 사용 중인 민간기업은 약 120억원의 연간 사용료를 절감할 것으로 예상된다. 민간 포털지도의 지도갱신 비용 절감에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
지리정보원 관계자는 "매주 갱신되는 국가기본도와 연계해 최신성과 신뢰성을 모두 갖춘 국가인터넷지도를 서비스할 계획"이라며 "중소·1인 기업 등은 다양한 아이디어를 국가인터넷지도에 표현함으로써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또 국가인터넷지도를 북한지역까지 확대 구축하고, 이용에 불편이 없도록 지속적으로 개선하다는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