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련이 이날 오전 공개한 ‘기초 지방선거 공천 관련 여론조사 및 당원투표 결과 집계표’에 따르면 ‘공천을 해야 한다’는 응답자는 전체의 57.14%(5만1323명)로 나타났다. ‘공천하지 않아야 한다’고 답변한 당원은 42.86%(3만8503명)에 그쳤다.
권리당원 전체 대상자 35만2152명 중 8만9826명이 투표에 참여해 25.5%의 투표율을 기록했다.
일반 여론조사에서는 A·B 여론조사 기관의 결과를 합산해 ‘공천하지 않아야 한다’는 응답이 전체의 50.25%를 차지했다. ‘공천해야 한다’는 대답은 전체의 49.75%였다.
A기관 조사에서는 무공천 응답이 51.4%, 공천 응답이 48.6%로 나왔고 B기관 조사에서는 공천이 50.9%, 무공천이 49.1%로 집계됐다.
국민 여론조사와 당원투표 결과가 엇갈린 것은 당원들이 ‘선거 승리’를, 일반 국민들은 ‘약속’과 ‘명분’이라는 측면을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지방선거 출마자를 비롯한 특정 후보 지지자들이 권리당원으로 대거 입당하면서 전체 대상자가 급증한 것도 주된 원인으로 꼽힌다.
하지만 결국 여론조사 문구에서부터 이미 공천 수순을 밟을 수밖에 없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조사 문구에는 ‘공천 강행’, ‘불공정한 선거’ 등 다소 주관적인 단어들이 들어갔다.
이번 결정으로 새정련 소속 현역단체장들은 부담을 덜게 됐다.
특히 충남(안희정) 제외한 서울(박원순), 인천(송영길) 등 격전지에서 현역프리미엄을 누리지 못하고 고전하고 있는 현역단체장들은 숨통이 트였다.
현역단체장들은 선거프레임보다는 일단 가용 가능한 조직들이 당락을 좌우할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재선에 성공하더라도 자신들을 뒷받침할 기초자치단체장이나 기초의원들이 없어질 경우, 시·도정 운영에 부담을 안게 된다는 점도 상당 부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새정련은 향후 기초선거 정당공천을 놓고도 한차례 내홍을 겪을 전망이다.
이미 통합신당 창당 등의 일정이 늦은 데다 공천작업까지 진행해야 되는 상황을 맞게 된 것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