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04/14/20140414133729986941.jpg)
정 처장은 이날 충북 오송에서 가진 식약처 설립·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에서 “식약처의 존재 이유는 식품·의약품·화장품·의료기기 등을 국민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관리하는 것"이라며 "규제개혁 역시 이를 전제로 시행하겠다”며 이 같이 밝혔다.
그는 △외국에는 없고 우리나라에만 있거나 △도입된 지 오래돼 환경 변화를 반영하지 못한 규제 △현장에서 개선 필요성이 요구되는 규제 등을 우선 개선 대상으로 제시했다.
소비자단체 등에서 식품 안전에 대한 부정확하거나 잘못된 정보가 제공되는 데 대한 개선 의지도 밝혔다.
정 처장은 “소비자 식품안전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충실히 하겠다”며 “식품 정보 오류에 따른 소비자 혼란이나 산업계 피해 예방을 위해 앞으로 경찰청·해경·한국소비자원 등이 검사결과를 발표하기 전에 식약처와 사전에 협의토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글루타민산타트륨(MSG)·인산염 등 일부 식품첨가물의 유해성 논란 확산에는 우려감과 함께 적극적인 대처에 나설 뜻도 밝혔다.
정 처장은 “국내에서 사용되는 식품첨가물은 과학적 결과를 근거로 사용기준을 정하고 있다"며 "특히 국제식품첨가물전문가위원회(JFCFA) 등 해외에서도 안전성이 확인된 품목”이라고 논란 확산을 차단했다.
이어 “업계 마케팅에 따른 소비자 혼선을 줄일 교육과 홍보를 지속적으로 실시하는 한편 계속되는 논란에 대해 다각적으로 검토하겠다”고 했다.
매년 시장 규모가 커지고 있는 건강기능식품의 경우 현행처럼 사전 광고심의 제도를 유지할 방침이다.
정 처장은 “건강기능식품은 의약품이 아니라 건강에 도움이 되는 기능성을 인정받은 식품”이며 “소비자를 보호하려면 사후관리보다 철저한 예방이 최선이므로 사전 광고심의 유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식품 수출기업 지원과 소위 ‘떳다방’을 중심으로 한 의료기기 거짓·과대광고와 무허가 제품의 유통 단속을 강화하고, 경미한 식품안전 위반사항 처분을 완화할 계획이다.
정 처장은 “지난해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식약처로 바뀌면서 식품·의약품 등에 대한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컨트롤타워 체계를 갖추게 됐다”며 “부처간 협업을 더욱 강화해 국민안전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