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박근혜 대통령의 독일 방문에 동행했었던 마파엘 대사는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이 주최한 제28회 포럼 본(Forum BORN) ‘통일에 꼭 필요한 Information, Information, Information’을 주제로 한 연설에서 통일을 위해 필요한 것에 대해 설명하면서 “독일 통일 후 논란은 있었지만, 지금은 (독일) 사람들 모두가 잘 한 것이라고 생각하고 통일 후 25년이 지난 지금 경제적으로, 정치적으로, 국민의 삶이 안정으로 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
마파엘 대사는 지원과 교류라는 동방정책의 큰 틀 속에서 “가장 유명한 재정지원은 동독의 정치범을 서독이 돈을 주고 사오는 것이었는데(소위 프라이카우프) 1인당 평균 3만 달러를 지불했다”면서 “재정적 지원을 통해 매번 동독으로부터 인적 교류 등의 일정한 대가를 얻어냈다”고 통일에 대한 노력을 강조했다.

롤프 마파엘 주한독일대사가 독일통일에 관한 연설을 하고 있다.
이 같은 “인적 교류의 활성화로 80년대에는 서독에서 동독으로 여행한 인원이 매년 170만명으로 증가했고 80년대에는 매년 230만 건의 전화통화가 이뤄졌다”면서 ”이런 것이 동독 사람들이 서독 사람들에게 관심을 가지고 인적교류가 활성화되는 계기가 됐다“고 설명했다.
마파엘 대사는 또한 “자동차와 기차가 동독을 가로질러 서독으로 갈 때 통행료를 지불(매년 25억 달러)했다”면서 “그 대가로 동독의 인프라를 서독이 건설했고 이를 통해 동독의 인프라가 발전했다”고 말했다.
그에 따르면 통일 이전 당시 서독은 5억 유로에 달하는 차관을 무이자로 동독에 제공하기도 하는 등 통일이라는 전제보다는 다른 나라로서 인정을 하고 끊임 없는 지원을 통해 그들의 마음을 여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런 측면에서 마파엘 대사는 “서독 정부의 열린 정책으로 그들(동독)은 의식이 변화했고, ‘우리는 한민족이다’라는 구호를 외쳤다. 통일을 위한 10개 항목에도 ‘통일’이라는 단어를 포함시키지 않았다”면서 “동독은 서독과의 교류를 어느 정도 인정했기에 통일이 가능했지만 현재 남북한의 교류가 어떤지를 집어 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는 통일 혹은 통일 대박이라는 화두만을 던져 놓고 쫓아가고 있는 지금 우리사회에 대한 그의 따끔한 일갈로 보인다.
마파엘 대사는 통일을 위해서는 주변국의 신뢰를 쌓는 것도 자국의 의지만큼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서독은 1949년부터 89년까지 정치, 경제적으로 서방세계에 편입되고 미국과의 우호관계를 명확히 하는 과정에서 동서독 분단을 고착시키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있었다”면서도 “동서독간 통일이 이뤄졌을 때 이 같은 서방세계와의 밀접한 관계로 인해 주변 국가들의 신뢰를 얻고 환영을 받을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다시 말해 “스스로가 이니셔티브를 쥐고 통일을 진행“시키려는 의지와 주변국의 협조가 함께 어우러져야 한다는 것이다.
마파엘 대사는 “서방세계에 결속, 통합되고 미국 우선시하는 것만으로 통일된 것은 아니고 독일도 양국간 철의 장막을 깨고 했다”면서 “ 남북간 통일 프로세스를 추진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하지만 마파엘 대사는 “정치적 통일에 20년, 경제적 통일에는 30년을 걸리고, 분단 40년이면 내적통합 시간도 40년 걸린다”며 진정한 통일을 이루는 길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상기시켰다.

김행 원장과 대화를 나누고 있는 롤프 마파엘 주한독일대사
한편 이날 조찬포럼을 연 김행 양평원 원장은 “정치적으로 경제적으로 통일의 완성을 이룬 독일의 사례가 우리나라의 상황과 꼭 맞아 떨어지진 않지만, 독일의 사례를 모델로 박근혜 대통령의 준비된 통일정책이 성과를 낼 수 있도록 각계각층의 여성들이 주도적 역할을 해내자”고 통일을 위한 길에 여성들도 앞장 설 것을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