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제공-위메프]
아주경제 정광연 기자 =소셜커머스 위메프(대표 박은상)가 병행수입 통관인증제도를 도입하고 소비자 신뢰 쌓기에 나선다고 21일 밝혔다. 해외브랜드 상품의 온라인 거래에서 장기적인 신뢰 기반을 구축하고 성실하고 경쟁력 있는 수입업체를 입점시키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지난 3월 1일 고위험군인 패션, 뷰티, 잡화의 병행 상품 1000가지 종류의 판매를 전면 중단하고 내부 규제를 강화하는 작업에 들어간 위메프는 약 1개월동안 면밀한 검토를 거친 뒤 위메프 병행수입 통관인증제도 도입, 위메프 자체 기준 강화로 신뢰도 향상, 소비자와 협력업체 지원 강화를 골자로 한 대응책을 내놓았다.
먼저 위메프는 병행수입 활성화를 위한 정부정책인 뱡행수입 통관인증제도를 본격적으로 도입한다. 병행수입 통관인증제도란 관세청에서 해외에서 수입된 제품에 통관표지(QR코드) 를 부착하는 제도이다.
현재 의류 및 신발부터 자동차부품 화장품 자전거 캠핑용품까지 모두 350여개 상표가 대상이며 2년 이상 무사고로 법위반 사실이 없는 성실병행수입 업체만 코드를 발급받을 수 있고, 소비자는 QR코드를 통해 수입자, 품명, 상표명, 통관일자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연내 정부가 QR코드에 AS 가능 장소를 추가해 병행수입 상품의 한계로 지적되어 온 사후관리문제를 해결해 나가고, 관세청이 표지 부착을 한 업체와 상품에 대한 수시점검에 나서는 등 정부의 적극 지원이 예정되어 있어 제도가 점차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일 오픈되는 통관인증관에는 현재 아베크롬비, 레이벤, 프라다, 나이키 등 약 40여 개의 상품이 입점해 있다. (http://www.wemakeprice.com/promotion/qrimport)
위메프는 병행수입 통관인증에만 기대지 않고 엄격한 내부 기준도 제시했다. 협력사 신용평가, 무사고 거래 실적, 브랜드 구색, 외부 평판, 내부 MD의 신뢰도 평가 등까지 포함했다. 아울러 외부공신력과 전문성 확보를 위해 무역관련 지식재산권협회(TIPA)를 양해각서를 맺고 철저한 검증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위메프는 강화된 기준을 통과한 병행 수입 업체에는 여러가지 혜택을 제공할 예정이다. 기준에 응하는 성실수입병행 업체에게는 정착시점까지 통관표지부착금(장당 270원), 표지부착 아르바이트 인건비를 전액 지원하는 한편 고정배너로 광고 효과를 줄 예정이다.
소비자들에게는 통관인증관을 오픈하는 이벤트를 진행해 구입액의 5%를 적립해주는 프로모션을 제공한다. 또 여기에서 판매된 제품이 가품으로 판정 시 기존의 110% 보상제를 보다 강화하여 구입액의 100%를 보상해주고 100% 포인트를 지급하는 200% 보상제를 도입한다.
위메프 박은상 대표는 “위메프는 온라인 해외브랜드 쇼핑의 신뢰도를 높이는 선도자 역할을 해 나갈 것”이라며 “검증된 업체의 검증된 상품을 전폭적인 지원을 통해 육성해 나가겠다” 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