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20년까지 7년간 6조9000억원을 들여 70개 해양수산 중점기술을 확보하기로 했다.
해양수산부는 23일 이 같은 골자의 '해양수산 연구개발 중장기 계획'이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의결을 거쳐 확정됐다고 밝혔다.
해수부는 이번 중장기 계획을 통해 △2020년까지 세계 선도 기술 20개 확보 △신규 일자리 7만8000개 창출 △해양수산 기술개발 민간 참여율 40%로 확대 등 3가지 목표를 달성할 계획이다.
또 이들 가운데 파급효과가 크고 이른 시일 내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는 20개 기술을 '퀵윈(Quick-Win) 기술'로 선정해 예산을 우선 반영할 예정이다.
20개 퀵 윈 기술은 △e-내비게이션 기술 △해양극한환경 극복기술 △해양플랜트 기자재 기술 △선박평형수 관리기술 △연안재해 관리기술 △유무인 도서관리 기술 △수중로봇 개발 기술 등이다.
해수부 관계자는 "중장기 계획이 차질없이 추진되면 생산유발 12조6700억원, 부가가치 유발 5조1900억원 등의 파급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해양수산부는 23일 이 같은 골자의 '해양수산 연구개발 중장기 계획'이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의결을 거쳐 확정됐다고 밝혔다.
해수부는 이번 중장기 계획을 통해 △2020년까지 세계 선도 기술 20개 확보 △신규 일자리 7만8000개 창출 △해양수산 기술개발 민간 참여율 40%로 확대 등 3가지 목표를 달성할 계획이다.
또 이들 가운데 파급효과가 크고 이른 시일 내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는 20개 기술을 '퀵윈(Quick-Win) 기술'로 선정해 예산을 우선 반영할 예정이다.
20개 퀵 윈 기술은 △e-내비게이션 기술 △해양극한환경 극복기술 △해양플랜트 기자재 기술 △선박평형수 관리기술 △연안재해 관리기술 △유무인 도서관리 기술 △수중로봇 개발 기술 등이다.
해수부 관계자는 "중장기 계획이 차질없이 추진되면 생산유발 12조6700억원, 부가가치 유발 5조1900억원 등의 파급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