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증가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건설투자가 플러스 성장으로 전환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설비투자는 5분기만에 감소했고 민간소비 증가율도 낮아졌다.
2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4년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속보)'에 따르면 이 기간 실질 GDP는 전기대비 0.9% 성장했다.
이는 전 분기(0.9%)와 동일한 수준의 성장규모다. 실질 GDP 성장률은 지난해 2분기와 3분기 각각 1.0%와 1.1%로 1%대를 기록한 후 4분기에 0.9%로 다시 둔화한 바 있다.
분기별로는 2분기 연속 0%대 성장을 기록했지만, 1년 전 같은 기간과 견주면 3.9% 성장했다. 이는 2011년 1분기 4.9% 이후 3년만에 최대 규모다.
이 기간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전기대비 0.7% 증가했다. 교역조건이 소폭 악화되면서 전기(0.8%)보다 다소 수치가 낮아졌다.
1분기 실질 GDP를 지출항목별로 살펴보면 전 분기(-5.2%) 마이너스를 기록했던 건설투자가 전기보다 4.8% 증가했다. 주거용 건물건설이 호조를 보였기 때문이다.
통계 개편으로 새롭게 추가된 지식재산생산물투자는 민간부문의 연구개발(R&D) 투자를 중심으로 전기대비 7.5% 증가했다. 이 부문은 지난해 2분기(-2.2%) 이후 3분기 1.2%, 4분기 1.8%로 점차 늘어나다가 올해 1분기 대폭 증가했다.
수출은 전기 및 전자기기, 석유제품 등이 늘어 1.7% 증가했으나 수입은 기계류와 화학제품 등이 줄어들면서 0.5% 감소했다.
민간소비는 자동차 등 내구재와 서비스 소비가 늘어나면서 0.3% 증가했다. 그러나 민간소비는 지난해 3분기 1.0%에서 4분기 0.6%로 둔화한 이후 올해 1분기까지 3분기째 증가세가 축소되는 양상이다.
설비투자는 운송장비가 늘었으나 기계류가 부진하면서 전기보다 1.3% 감소했다. 설비투자가 줄어든 것은 2012년 4분기(-3.3%) 이후 5분기만이다.
경제활동별로는 전기가스수도사업과 농림어업이 전 분기보다 각각 4.5%와 4.3% 감소했다. 따뜻한 날씨로 난방용 수요가 줄어든 것과 양돈 및 육우 사육두수 감소 등이 요인으로 작용했다.
반면 제조업은 전기 및 전자기기, 금속제품, 석유제품 등이 늘어나면서 전기보다 2.1%, 건설업도 주거용 건물건설을 중심으로 1.4% 증가했다. 서비스업 역시 음식숙박이 부진했으나 보건 및 사회복지, 운수 및 보관 등이 늘어나면서 0.6% 성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