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위는 24일 이같은 내용의 디지털문화 향상과 인터넷윤리 교율 강화 방안에 관한 사항을 보고했다.
방통위는 주관하는 초중고 인터넷윤리 교수학습 자료집 작성 때 이번 세월호 사고와 관련한 SNS 활동을 중요한 교훈사례로 수록할 계획을 예고하고 근거없는 왜곡과 악의적인 비방으로 지탄받는 SNS 활동을 벌인 개인이나 그룹, 내용을 교육자료에 수록할 예정이다.
긍정적인 활동으로 누리꾼과 시민사회의 호응을 받은 사례는 소개하고 SNS 활동의 모범으로 제시할 계획이다.
중장기로는 관련 부처와 협의해 공교육 교과과정에 인터넷윤리를 필수 또는 권장 과목으로 비중을 높이도록 추진할 방침이다.
학부모들에 대해서도 자녀교육과 함께 평생학습을 겸해 인터넷 디지털문화에 관심을 높이도록 권장할 예정이다.
국가적 재난시 SNS를 통해 협동·격려·위로하는 공동체정신의 확산에 공헌한 활동에 대한 포상도 추진하기로 했다.
공동체가 재난을 겪을 경우 협동 격려하고 용기를 북돋우는 SNS 활동을 장려하기 위하여 인센티브 의미가 있는 포상을 시행하기로 했다.
방통위는 세월호 사고 관련 SNS 활동에 대해 내달 말까지 공모하거나 자체 선정해 6월 방통위가 주관하는 ‘아름다운 인터넷세상 만들기’ 행사에서 시상할 방침이다.
방통위는 세월호 사고 이후 인터넷윤리에 대한 여론층의 우려가 높아지면서 이를 해소하는 차원에서 정책사업을 전개할 경우 호응이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유치원과 초등학교에 대한 인터넷윤리 교육을 지원하고 홍보할 경우 성인의 인터넷윤리 교육을 담당하는 미래창조과학부 등 다른 부처들도 각기 소관 영역에서 윤리 교육을 강화하는 연쇄 반응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