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최신형 기자=“‘스윙보터(Swing Voter-정치 상황과 이슈에 따라 선택을 달리하는 부동층)’를 주목하라.”
6·4 지방선거가 40여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여야 정치권이 스윙보터 표심의 향배를 주목하기 시작했다. 민생이슈 실종이 장기화되면서 40대와 이념적 중도층·무당파·중산층 등 부동층이 갈 길을 잃어서다.
24일 여야가 당내 경선 일정과 공천작업을 조심스럽게 개시하면서 선거 열기를 서서히 달구자 내주부터 스윙보터들의 소구력이 지방선거 중반 판세를 가를 것이란 전망이 제기된다.
실제 새누리당은 이날 수도권 빅3 지역(인천·경기·서울)의 경선을 내달 9일과 10일, 12일에 각각 실시키로 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중앙당 주도로 ‘혁신비례대표’ 전략공천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여야 모두 구도와 인물 전선을 위한 발판을 마련한 셈이다.
문제는 ‘이슈’의 부재다. 기초연금 제정법 등 민생법안은 이날 현재에도 표류하고 있다. 특히 세월호 참사가 블랙홀로 작용하면서 민생정책 경쟁은 완전히 수면 아래로 가라앉은 모양새다.
이슈 실종이 장기화될 경우 선거 막판으로 갈수록 특정 이념 성향을 지닌 유권자들의 지지경향은 강화된 반면 스윙보터의 표심은 약화된다.
이는 여론조사 결과에서도 그대로 드러났다. ‘리얼미터’ 조사에서 새정치연합 창당 시점인 3월 둘째 주 당시 9.8%에 불과했던 부동층은 4월 셋째 주 15%로 치솟았다.
새정치연합의 무공천 논란에 따른 기존 안철수 공동대표의 지지층과 여야의 민생정책 경쟁을 바라는 무당파 층이 이탈한 결과로 분석된다.
보수에서 중도로 확장하려는 새누리당과 진보에서 중도로 넓히려는 새정치연합의 ‘부동층 흡수’ 전략에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새정치연합 한 관계자는 이날 아주경제와 통화에서 “현재 지방선거에서 어느 정당이 유리할지는 단언키 어렵지만, 40대 표심 이동을 주목하면 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귀띔했다.
통상적으로 20대는 ‘3(보수-이하 동일) 대 7(진보-이하 동일)’ 30대 ‘4 대 6’ 구도인 반면 60대 이상에선 ‘7 대 3’, 50대는 ‘6 대 4’ 구도다. 2030세대와 5060세대의 지지율이 상쇄된다면, 40대 표심의 향배가 선거 막판 승부의 ‘결정타’가 될 수 있다는 셈법이 나온다.
이밖에 지역별로는 수도권과 충청권, 그리고 화이트칼라 계층이 스윙보터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내달 8일로 예정된 여야 원내대표 경선에서 ‘충청권 배려(새누리당 이완구·새정치연합 노영민 의원)’ 주장이 끊임없이 제기된 이유도 이런 맥락에서다.
하지만 여야가 민생정책 경쟁을 통해 부동층 흡수 전략을 꾀할지는 미지수다. 4년 전 중도층을 뒤흔들었던 친환경무상급식의 2014년 버전이 전무한데다가 환노위 근로시간 단축·통상임금 등에 대한 논의도 중단된 상태다.
이로써 여야 모두 경제성장과 경제민주화 담론 등 독자적인 브랜드 구축에 실패하면서 중도 외연 확장에 빨간불이 켜지게 됐다. 결국 이번 선거의 승패는 여야 중 누가 ‘정책의 정치이슈화’로 산토끼를 잡느냐에 달렸다는 얘기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