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4년 3월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이 기간 경상수지는 73억5000만 달러 흑자를 냈다. 지난해 10월(111억1000만 달러) 이후 5개월만에 가장 큰 규모다.
이로써 1분기 누적 흑자규모는 151억3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지난달 경상수지 흑자는 수출 호조에 따라 상품수지 흑자 폭이 확대되고, 일부 수지 개선에 따른 서비스수지 적자 폭 축소에 따른 것이다.
수출이 전월 479억9000만 달러에서 541억6000만 달러로 증가한 덕분이다. 다만 전년동기대비로는 5.9% 증가해 전월(7.2%)보다는 다소 증가폭이 축소됐다.
통관기준으로 보면 정보통신기기(22.5%)와 승용차(14.7%), 반도체(13.6%) 등이 호조를 보였다. 미국과 유럽연합(EU)도 각각 1년 전에 비해 16.9%와 15.1% 증가했고 동남아에 대한 수출도 5.3% 늘었다.
수입은 같은 기간 425억9000만 달러에서 461억3000만 달러로 증가했다. 전년동기와 견줘보면 3.3% 증가해 전월(1.3%)보다 소폭 확대됐다.
서비스수지는 전월 10억6000만 달러에서 지난달 6억5000만 달러로 적자 폭이 축소됐다.
운송수지가 이 기간 3억4000만 달러에서 5억9000만 달러로 흑자폭을 키운 것이 영향을 미쳤다. 건설수지도 12억1000만 달러로 전월(11억6000만 달러)보다 더 많은 흑자를 냈다. 여행수지도 4억8000만 달러에서 2억6000만 달러로 적자 규모가 줄었다.
반면 기타사업서비스수지는 7억 달러 적자를 내면서 전월(-4억6000만 달러)보다 악화됐다. 지적재산권사용료수지는 같은 기간 10억9000만 달러에서 10억1000만 달러로 비슷한 규모의 적자를 기록했다.
본원소득수지는 전월(3억7000만 달러)과 비슷한 수준인 3억2000만 달러 흑자를 냈다.
이전소득수지는 3억6000만 달러 적자를 보였다.
한편 금융계정은 전월 69억2000만 달러에서 57억8000만 달러로 순유출 규모가 축소됐다. 이로써 1분기 금융계정의 순유출 규모는 171억8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직접투자는 외국인직접투자가 순유입으로 돌아서면서 전월 21억6000만 달러에서 20억2000만 달러로 순유출 규모가 소폭 축소됐다.
증권투자 역시 외국인채권투자가 순유입으로 전환함에 따라 73억9000만 달러에서 20억1000만 달러로 순유출 규모가 크게 축소됐다.
파생금융상품은 5억1000만 달러 순유입을 기록했고, 기타투자는 금융기관의 차입 축소 등으로 전월 47억4000만 달러 순유입에서 4억7000만 달러로 순유출로 전환했다.
준비자산은 17억9000만 달러 증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