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이규진 기자 = 미국과 유럽이 러시아에 대한 추가 제재를 실시했다. 이번 제재는 개인에 초점이 맞춰지면서 전반적인 금융시장에 영향을 끼치진 않았다. 그러나 러시아 금융시장에선 불안감이 팽배해졌다.
미국은 28일(현지시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측근 러시아인 7명과 러시아 기업 17개에 자산동결 등 제재를 가했다. 대표적인 대상은 이고르 세친 로스네프트 최고경영자다. 세친 회장은 2008년부터 2012년까지 부총리를 역임했다. 유럽도 15명의 러시아 인사를 자산동결 및 여행금지 등 제재 대상에 추가시켰다. 캐나다 정부도 러시아 경제 제재 대상에 정 재계 인사 8명과 기업 2곳을 추가했다.
이번 제재는 개인을 겨냥했기 때문에 당장 금융시장에 악영향을 주진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새로운 조치가 러시아 정책에 즉각적인 정책 변화를 만들어내진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다만 러시아에 심각한 경제적 고통을 지속시킬 것이라고 분석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이번 제재는 일주일 전에 기대됐던 것보단 약한 조치라고 전했다. 개인만 추가됐으면 우려했던 에너지·은행·군부대 관련 제재는 보류됐다. 우크라이나 정부 관계자는 서방국의 제재가 여기서 멈추지말고 더욱 고통스러운 제재를 실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다만 러시아에서 자본 유출은 심화되고 있다. 올해 들어 러시아의 순자본 유출은 지난해보다 총 집계 보다 많은 600억 달러(약 62조원)를 넘어섰다. 러시아 정부는 제재를 제외하고 올해 0.5%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금융 장관은 자본 이탈과 인플레이션 증가로 낙관적이지 못한다는 전망이다.
채권시장도 마찬가지다. 오는 2023년 1월 만기 국채 금리는 올해 들어 7.66%였으나 최근 9.31%로 올랐다. 국채 금리가 올랐다는 건 그만큼 채권 가격이 떨어졌다는 것이다. 금융시장이 불안하다보니 러시아 정부도 지난 8주간 국채 발생을 멈추고 눈치를 보고 있다. 지난주 러시아는 5년물 만기 9년물 만기 국채 발행 계획을 중단했다. 미국의 제재가 더해지고 루블화 가치하락이 이어진다면 대재앙을 겪을 수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는 우려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