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진수 이주예 정순영 기자 =Q. 먼저 다운 기업 알아보죠? 금융당국이 자살로 사망한 가입자들에게 일반 사망보험금만 지불한 ING생명 등 생명보험사들을 제제하겠다고 나섰다죠? 사망보험금을 소급 지급 방침이라고요?
-금융감독원은 ING생명등 생보사들에게 앞으로 발생하는 자살 건에 대해서 약관에 지급한다고 돼 있으면 주도록 지도할 방침입니다.
ING생명 등 생보사들이 보험 약관이 실수로 만들어졌다고 해도 법률적으로 보면 약관을 따라야 하는 게 맞다고 해석한 것으로 보이는데요.
금융당국은 우려하면서도 원칙대로 하자고 결론을 내린 것 같습니다.
2010년 4월 약관개정 이전 보험에 가입 후 2년지나 자살을 하면 일반 사망금보다 배 이상 많은 재해 사망보험금을 지급하게 돼있는데요.
생보업계는 과거에 잘못된 약관을 서로서로 복사해 쓰다가 이런 실수를 저지른 것 같습니다.
생명보험사들은 표기 실수일 뿐 자살은 재해가 아니므로 지급 의무가 없다고 주장하고 있는데요.
특히 보험사들은 자살 보험금을 많이 주면 마치 자살을 부추기는 게 될 수 있다며 고객을 걱정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지금은 스스로를 걱정할 때가 아닐까 싶은데요.
현재 1~2개를 뺀 모든 생명보험사가 관련돼있는 상태인데요.
특히 ING생명의 경우 상황이 더욱 안 좋을 것 같습니다.
금감원이 작년 8월 ING생명을 조사한 결과 2003년부터 2010년까지 200억 원을 덜 지급한 사실이 밝혀졌기 때문입니다.
보험사들이 덜 지급한 보험금은 최소 수천억 원에서 많게는 수조 원에 달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금감원은 먼저 ING생명을 본보기로 삼을 듯 보입니다.
ING생명을 제재하면 나머지 보험사들도 제재를 피하기 위해 보험금을 지급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특히 외국계 회사들은 안 그래도 서비스 부문에서 좋지 않은 평가를 받고 있는데 ING생명은 민원발생 평가에서 최하위 등급을 받은 바 있습니다.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보험금을 지급하라는 이순재 선생님의 명언이 생각나는데요.
가입할 땐 온갖 감언이설로 꼬여놓고는 정작 보험금을 받을 땐 어떤 핑계를 대서라도 안 주려고 악을 쓰는 보험사들 많습니다.
보험 약관은 가입자에 유리하게 해석돼야한다고 약관에 명확하게 나와 있는데요.
대법원의 2007년 판례를 봐도 약관에 오류가 있더라도 보험금은 약관대로 줘야 판결을 내린 바도 있습니다.
Q. 안 좋은 영향을 분명 미칠 수 있겠지만 약속한 금액은 보상하는 것이 맞지 않을까요? 모쪼록 원만한 합의가 될 수 있었으면 합니다. 계속해서 업 기업 알아보겠습니다. LG전자가 1분기에 깜짝 실적을 발표했죠?
-LG전자가 매출은 소폭 증가했지만 이익은 2배나 뛰었습니다.
TV 부문의 수익성이 크게 개선되고 휴대폰 부문의 영업적자가 감소하면서 실적이 개선된 건데요.
1분기 연결매출 14조2747억원, 연결영업이익 504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매출 증감보다 영업이익 증가폭이 컸는데요.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44%, 전 분기 대비 2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TV사업 매출이 두드러졌습니다. 매출이 4조9473억원, 영업이익 2403억원으로 LG전자 전체 영업이익의 절반 가량을 달성했습니다.
휴대폰 분야 역시 'G2'와 'G프로2', '넥서스5'가 판매 호조를 보여 1분기 LTE폰 판매량은 사상 최대인 500만대를 기록했습니다.
Q. LG TV 참 튼튼하고 화질도 좋다는 생각 저도 했었는데 역시 실적으로 나타나네요. 스마트폰 분야에서도 좋은 소식 기다려보죠.
스마트폰에서 아주경제 앱을 다운받으면 아주티비와 함께할 수 있습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