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통계청에 따르면 향후 경기 국면을 예고해주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지난 3월 101.2로 전달보다 0.3포인트로 지난 2월 101.5에 이어 두 달째 하락했다.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경기 회복과정에서 일시적으로 등락하기도 하지만, 2개월 이상 하락한 것은 2012년 8~10월 이후 처음이다.
이는 건설수주액, 기계류 내수출하지수, 코스피지수 등이 부진한데 따른 결과로 현재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도 1월 100.7까지 오른 뒤 3월까지 그대로 멈춰선 상태다.
회복세를 보이던 부동산시장에도 변화 조짐이 나타났다. 한국감정원 통계를 보면 4월 전국 주택가격의 상승폭은 3월(0.23%)의 4분의 1 수준으로 둔화했고, 수도권의 경우 0.02% 하락하며 8개월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내수와 밀접한 소비재 수입의 증가 흐름도 주춤했다. 산업통상자원부의 수출입동향을 보면 4월 1~20일 소비재 수입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4% 감소했다.
전문가들은 소비재 수입 둔화는 원화 강세 흐름과도 무관하지 않지만 내수 위축에 따른 영향이 적지 않다고 진단했다.
앞서 한국은행이 발표한 1분기 국내총생산(GDP) 속보치로는 전기 대비 민간소비증가율이 지난해 1~3분기에 각각 -0.1%, 0.7%, 1.0%로 상승하다가 4분기에 0.6%에 이어 올 1분기에는 0.3%로 둔화했다. 설비투자지표도 부진했다.
또 4월 소비자심리지수(CSI)에서도 향후경기전망CSI는 3월 102까지 올랐다가 4월 101로 떨어졌다. 특히 봉급생활자는 3월 100까지 올라 1년 사이에 최고점을 형성하고선 4월엔 99로 하락하는 등 부정적으로 보는 가구가 더 많아졌다.
주택가격전망CSI도 2~3월 121로 고점을 찍고 4월엔 116으로 5포인트 내렸다. 소비가 늘기엔 구조적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