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배인선 기자 =지난 2012년 4월, 중국 국무원이 중국 두만강지역(훈춘) 국제합작시범구을 국가급 프로젝트로 설립을 비준한 지 벌써 2주년을 맞았다. 중국은 훈춘(琿春)을 북한과 러시아 발전과 연계시켜 동북3성 발전을 시킴과 동시에 동북아시아 시대, 더 나아가 유라시아 시대에 대비한 물류 허브로 조성하기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중국 북방 변경 두만강 지역의 자그마한 도시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것이다.
지린성 옌볜조선족자치주에 소재한 훈춘은 두만강을 경계로 북한 나선(나진-선봉) 특별시, 동쪽으로는 러시아 연해주와 맞댄 중국의 북방 변경 도시다. 훈춘이라는 이름도 만주어로 ‘변두리’ ‘구석’이라는 뜻이다. 이처럼 중국 대륙의 북쪽 변두리에 위치했던 훈춘은 1992년 개방도시로 지정됐으나 지리적 이유 탓으로 지난 20여년간 중국 북방의 일개 변경도시로 고속 경제발전에서 소외돼 낙후돼 있었다.
그러나 중국의 부상과 함께 동북아가 글로벌 경제 주축으로 새롭게 떠오르면서 변경도시 훈춘이 동북아의 중심지로 새롭게 각광받고 있다. 중국은 현재 러시아와 북한 국경지대에 인접한 훈춘을 동북아시아, 더 나아가 유라시아 물류허브로 만든다는 청사진을 구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 당국은 지난 2012년 4월 훈춘에 ‘두만강 국제합작시범구’를 국가급 프로젝트로 추진하기로 결정하며 본격적인 개발에 착수했다.
오는 2020년까지 조성할 시범구에는 90㎢ 면적에 국제산업합작구역, 국경무역합작구역, 북ㆍ중 훈춘경제합작구역, 중ㆍ러 훈춘경제합작구역 등 4개 구역으로 나누어 개발이 진행된다. 중국 당국은 이곳에 투자하는 기업에 세금감면, 토지제공, 금융서비스, 해관검역 및 통관수속, 인재육성 등 방면에서 우대혜택을 지원하고 있다.
두만강 지역 국제합작시범구 조성을 본격화하면서 중국 정부는 창춘(长春), 지린(吉林), 투먼(图们)을 잇는 ‘창지투 개방 선도구’ 개발사업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창지투 개방 선도구’ 개발사업은 지린성의 주요 3개 도시를 연결해 대규모 산업과 물류단지를 만드는 것이다. 중국 정부는 2009년부터 이미 창지투개방 선도구 개발사업을 시작했으며, 2020년까지 투자를 완료할 계획이다.
훈춘을 동북아 물류허브로 조성하기 위한 교통 인프라도 속속 구축되고 있다. 앞서 2010년 창춘~ 옌지~ 훈춘을 잇는 고속도로가 개통된데 이어 올해는 이 구간에서 360km 길이 고속철도 완공될 예정이다. 훈춘~북한 나진항으로 연결되는 신 두만강대교도 올해 완공을 앞두고 있다. 여기에 중국이 북한 나진항 부두 사용권을 확보해 동해 뱃길도 열리면서 훈춘 지역 투자는 나날이 활기를 띠고 있다.
옌볜일보에 따르면 지난 2012년 4월 국제합작시범구 설립 이래 훈춘시에서는 총 500억 위안 규모의 사업 총 220개가 진행됐다.훈춘에는 이미 중국 국유 전력생산 기업인 다탕(大唐) 전력과 중국 최대 구리 금광업체인 쯔진(紫金)광업, 홍콩 하오더(豪德)그룹 등이 투자했다. 중건(中建)그룹, 이치(一汽)자동차, 중메이(中煤)에너지 등 굵직한 기업들도 훈춘을 시찰하며 투자를 모색한 것으로 전해진다.
훈춘시 지역 경제도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2013년 훈춘시 GDP는 전년 보다 11.6% 증가한 14억 위안에 달했다. 재정수입도 지난해 17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8.6% 증가했다. 올해는 더욱 성장에 박차를 가해 전년 동기 15% 증가한 GDP 161억 위안을 실현하겠다는 계획이다.
훈춘은 또 북한, 러시아와 접경 지대에 위치한 지리적 이점을 살려 국제관광산업을 지역의 주력사업으로 육성한다는 구상이다. 이에 따라 현재 중국 훈춘-러시아 하산-한국 속초를 연결하는 육해 국제관광코스가 개통됐으며, 북한과 러시아 지역을 동시에 바라볼 수 있는 두만강 하구의 팡촨(防川)관광지도 국가 4A급 관광지로 지정돼있다. 지난해 훈춘시 연인원 관광객은 110만명으로 올해는 140만명을 돌파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북한과도 접경한 훈춘은 한반도 통일시대를 대비하는 전초기지의 역할도 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우리나라 포스코현대국제물류단지도 지난 2013년 3월 착공해 현재 건설 중에 있다. 총 7000㎡ 규모의 거대한 물류단지는 오는 2020년까지 총 2000억원 정도가 투자돼 중국 대륙은 물론 러시아와 몽골, 북한 진출의 요충지가 될 전망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