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는 구조조정 가산점을 받기 위한 '입학정원 감축실적 인정 기준'을 수립해 각 대학에 안내했다고 6일 밝혔다.
교육부가 마련한 기준에 따르면 학부 입학정원 1.5명을 줄일 경우 일반대학원의 정원을 1명 늘릴 수 있는데 이 비율만큼은 학부 정원감축분에서 제외한다.
예컨대 모 학과 학부 정원을 20명 줄이고 대학원 정원을 10명 늘렸을 경우 대학원 정원 증원에 따른 학부 정원 감축분 15명을 제외한 5명만 감축실적으로 계산된다.
의·치의학전문대학원에서 의·치과대학으로 학제를 전환하면서 학부 정원이 줄어든 부분도 마찬가지다.
간호사, 치료사 등 보건의료 학과 정원을 배정받으려고 타 학과 정원을 줄인 부분도 정원감축 인정 대상이 아니다.
주·야간으로 구분된 입학정원에서 야간 입학정원을 줄였을 경우 감축분의 50%만 감축실적으로 인정된다.
이에 대해 교육부 관계자는 "평생학습 활성화 차원에서 대학의 야간 정원을 많이 늘려줬는데 대학이 가산점을 받고자 야간 정원만 줄이는 꼼수를 방지하기 위해서"라고 설명했다.
해양대학의 경우 해사대학의 정원을 늘리기 위해 다른 단과대학의 정원을 줄인 부분은 이번에 정원 감축으로 인정된다.
정원 감축률을 계산할 때 모수는 대학의 총 입학정원으로 하지만 국가 정책적 필요에 의해 교육부가 증원을 허용한 정원은 모수에서 제외된다는 것이다.
이번에 마련된 구조조정 가산점 적용 기준은 2014년 대학 특성화사업과 학부교육선도대학(ACE) 육성사업, 2015학년도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 평가에 적용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