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철학' 펴낸 마광수교수 “인생에 별 기대를 걸지 마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5-13 16:3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박현주 기자 = "인생에 별 기대를 걸지 마라. 종교를 멀리하라. 정치에 관심을 두지 마라. 성(性)을 죄의식 없이 즐겨라.”

 마광수 연세대 교수가 수필집 '행복 철학'(책읽는 귀족)을 출간했다. '아무도 가르쳐주지 않았던 행복론'이란 부제를 달았다.
 
 허무주의와 성애에의 집착은 여전하다. 사회적 위선과 가식, 욕심을 버리고, 자연으로 돌아가야 행복을 되찾을 수 있다는 요지에 맞춰 그는 파격을 이어간다.

 독신으로 살면서 프리섹스를 즐기는 게 최고라는 그의 지론도 여전하다. 모성애란 강요된 것이며, 부성애란 아예 없는 것이라고 단언했다. 일평생 연애주의로 가는 게 최고의 행복을 보장받을 길이라고 주장했다. 직감이 시키는 대로 행동해야 자연이 준 원시적 생명력을 잃지 않는다고 말했다. 국가와 사회는 개인적 쾌락 추구를 간섭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마 교수는 정치과잉의 우리 사회 단면에 독설을 마다하지 않는다. "요절하지 않으면 변절하지 않을 수 없게 만드는 나라."(94쪽) 정치란 기본적으로 지배욕과 권력욕에서 비롯되는 일종의 악이라 규정하며, 정치에 대한 지나친 관심은 반드시 불행을 불러온다고 말했다.

종교에 대한 비판론도 거침없다. 종교가 자유로운 연애와 성을 훼방하여 행복한 인생을 불가능하게 한다는 게 요지다.

 1989년 '나는 야한 여자가 좋다' 출간 이후 25년이 흘렀지만, 예순을 훌쩍 넘긴 지금도 마 교수의 주장은 야(野)하고, 논쟁적으로 비쳐지고 있다.

 그럼에도 마 교수는  “나의 가치관과 인생관이 옳고 남은 틀리다는 흑백논리를 버려야한다"며 "아직도 우리 사회는 다양성을 받아들일 준비가 안 됐을까요?"라며 담담하게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