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파트 모델하우스 내부. [아주경제 DB]
추가 선택을 하게 되면 아파트 시공 시 설치가 되기 때문에 따로 구매하지 않아도 되고 구입 가격도 좀 더 저렴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벽지 등 기본으로 제공되던 품목은 추가 선택품목에서 제외해 분양가 상승 우려는 차단했다.
국토교통부는 오는 15일부터 이 같은 내용의 ‘공동주택 분양가격의 산정 등에 관한 규칙과 시행지침’ 개정안을 입법ㆍ행정예고한다고 14일 밝혔다.
추가선택품목이란 사업주체가 공동주택 분양 시 입주자모집공고에 제시해 입주자가 자율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분양가에 포함되지 않는다.
과거 일부 품목을 과도한 가격으로 책정해 분양가에 포함시킴으로써 실질 분양가를 상승하는 효과를 내 분양가와 별도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일종의 규제다.
개정안은 기술 및 주거생활 변화에 따른 품목을 반영할 수 있도록 국토교통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고시하는 품목을 추가할 수 있도록 했다.
국토부 주택정책과 관계자는 “설치 편의성을 높여 개별 구매에 따른 번거로움을 줄여 높이고 공동 구매 형식이어서 가격도 저렴할 것”이라고 전했다.
그동안 분양가에 포함되던 품목들이 추가 선택품목으로 빠지게 되면서 생길 수 있는 실질 분양가격 상승 우려에 대해서는 “분양가에 포함되는 기본 선택품목은 추가 선택품목에 포함되지 않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단 그동안 건설사가 무료로 제공하던 일부 품목을 빼고 선택품목에 포함할 경우 체감 가격상승은 높아질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이에 대해 한 건설사 관계자는 “지금도 분양성 강화를 위한 전략으로 추가 선택품목을 사실상 무료로 해주는 경우가 있어 실제 분양가가 오르는 효과는 없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개정안은 의견수렴을 거쳐 7월경 시행될 예정이다. 세부내용은 국토부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