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공정위는 이달 초부터 순차적으로 BC카드·현대카드·KB국민카드 등 신용카드 본사에 조사관을 파견, 실태조사를 실시했다.
지난 국정감사 당시 국회 정무위원회 민주당 간사인 김영주 의원은 신용카드사들이 ‘갑’의 지위를 이용해 결제대행 VAN사들을 상대로 부당이득을 취하고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당시 국정감사자료에서는 신용카드사들이 VAN업체에게 용역비용 지급을 자사 카드로 결제하게 하는 등 부당한 가맹점 수수료를 챙겨온 정황이 드러나 있다. 지난 5년간 신한카드·삼성카드·현대카드·KB국민카드·롯데카드·하나SK카드·BC카드·외환은행·농협은행 등 9개 신용카드사들이 챙긴 부당 카드수수료만 총 136억7600만원 규모다.
금융권 관계자는 “공정위가 몇몇 카드사를 상대로 실태조사를 하고 있다”며 “카드사의 우월적 지위를 이용한 벤사 용역비 수수료 등 부당 편취와 관련성이 높다. 하지만 카드사뿐만 아닌 벤사와 가맹점 간 리베이트 관행에 대한 점검도 착수할 가능성이 높아 해당시장을 타깃으로 한 전방위 조사가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나온다”고 말했다.
공정위 관계자는 “현재 조사가 진행 중인 사안이 많아 일일이 확인하긴 어렵다”면서도 “카드사와 벤사의 문제는 지난 국감에서도 나온 만큼 실태 조사 단계로 볼 수 있다. 거래상 지위 남용에 해당되는 부분이 발견되면 제도개선은 불가피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