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19일 현재 국내 기업이 운영하는 기업부설연구소 수가 3만개를 넘어섰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1981년 7월 과학기술처가 기업부설연구소 설립 신고제도를 도입하고 그 해 53개 연구소를 인정한 후 33년만이다.
국내 기업부설연구소 수는 1991년에 1000개, 2004년에 1만개, 2010년에 2만개 등으로 급증해 왔다.
2012년 기준 전국 5인 이상 제조업체 수는 13만여개로 이중 약 23%가 일정 연구인력과 연구시설을 갖춘 기업부설연구소를 운영하고 있을 정도로 기업의 기술개발 활동이 확대됐다.
우리나라 전체 R&D 지출에서 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제도도입 당시인 1981년 56% 수준에서 2012년 75%로 높아졌다.
기업부설연구소가 3만개를 넘어서게 된 데는 기업들의 연구개발 확대 노력과 함께 기업부설연구소에 대한 정부지원 확대가 역할을 한 것으로 해석된다.
기업부설연구소는 R&D 조세감면, 연구개발자금 등을 지원받게 돼 지난해 기업이 받은 R&D 조세감면은 3조1976억원, 정부 R&D 사업을 통한 자금지원 규모는 3조4193억원에 이른다.
기업부설연구소가 1만개에서 3만개로 증가한 내역을 보면 중소기업 및 지식기반서비스분야의 연구소와 수도권 지역의 연구소 증가 등이 두드러졌다.
중소기업 부설연구소 수는 2만8353개인 94.5%를 차지하는 가운데 1만개 시점의 9121개(91.2%)에 비해 1만9232개가 증가했다.
SW개발공급, 정보서비스, 엔지니어링, 문화서비스 등 16개 서비스업종 인정분야인 지식기반서비스분야 연구소 수는 21%인 6292개로 1만개 시점의 913개(9.1%)에 비해 5379개 늘었다.
정부는 지난 30년간 기업 R&D가 양적 성장을 이룬 만큼 앞으로는 기업 R&D의 질적 성장을 유도해 나갈 계획이다.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인정받은 기업부설연구소를 대상으로 연구역량을 평가해 우수 기업부설연구소로 인증하고 차별적인 지원혜택을 부여하는 우수 기업부설연구소 인증제를 도입할 예정이다.
지난달 15일부터 본격 운영에 들어간 민간 R&D 정책 소통 센터를 통해서는 산업계 R&D 현장의견을 수렴해 정책에 반영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