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초·중·고교 학생 1인당 사교육비는 월평균 32만8000원으로 읍면지역 학생 평균 14만7000원의 2.23배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등 6개 광역시 학생 1인당 사교육비는 월평균 23만3000원, 중소도시는 23만8000원이다.
사교육비 금액별로는 서울의 경우 '사교육 받지 않음'(25.0%), '50만원 이상'(24.9%), '20만~30만원'(11.4%), '30만~40만원'(11.1%), '40만~50만원'(10.5%) 등 순이다.
반면, 읍면지역은 '사교육 받지 않음'(42.5%)이 큰 격차로 1위이고, 이어 '10만∼20만원'(15.0%), '20만∼30만원'(13.7%) 등의 순이다. '50만원 이상'은 3.6%에 그쳤다.
이 통계에는 사교육을 아예 받지 않은 학생도 포함돼 있어 실제로 사교육을 받는 학생의 부담은 이보다 훨씬 많다. 실제 지난해 초·중·고교 학생들의 사교육 참여율은 68.8%다. 서울 75.0%, 광역시 68.9%, 중소도시 70.2%, 읍면지역 57.5%였다.
지난해 사교육비 총 규모는 18조6000억원으로 전년보다 4000억원 감소했다. 이에 대해 통계청 관계자는 "전체 초·중·고교 학생들이 약 25만명 감소한 결과로 풀이된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