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EMS 시스템 구성도. [이미지 제공 = 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는 지난 20일 국무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 일부개정안이 통과함에 따라 공포된다고 28일 밝혔다.
개정안에는 우선 냉방에너지 사용을 줄이기 위해 건축물 외벽에 차양을 설치하는 등 효율적 일사 차단기준 근거조항이 마련됐다.
건축물의 에너지 성능향상을 위해 단열재·방습층과 지능형 계량기(BEMS) 등 에너지절약형 건축설비의 설치도 강화키로 했다. BEMS란 에너지 절감을 위해 에너지원별 센서·계측장비, 분석 소프트웨어를 통신망으로 연계해 실시간으로 에너지 상황을 모니터링·제어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이다.
공공건축물은 에너지 소비량을 공개하고 효율이 낮은 경우 에너지 효율 및 성능개선을 요구할 계획이다. 공공부문의 선도 참여와 모범사례 구축을 통해 에너지절약 의식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다.
일정규모 이상의 건축물을 건축하는 경우에는 녹색건축·에너지효율등급 인증을 받도록 하고 그 결과를 건축물 대장 등에 표시해 건축물 거래 시 에너지 성능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기존 건축물 에너지 성능향상 및 효율 개선 등을 위한 그린리모델링은 저리융자 및 지자체 기금조성 등의 금융지원 근거를 마련했다. 민간금융을 활용한 그린리모델링 지원사업은 사업계획서 검토, 기술지원, 사업자 등록·관리·교육, 홍보 등을 맡는 전문기관을 설치토록 했다.
그동안 민간자격으로 운영되던 건축 에너지성능 평가제도를 국가자격으로 전환하고 시험시행주체 및 자격증 발급주체 등 자격시험에 대한 세부사항을 정했다.
국토부 녹색건축과 관계자는 “이번 법 개정을 통해 국가 차원의 에너지를 절감하고 건물 이용자가 에너지 비용 걱정 없이 보다 쾌적한 거주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