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국제업무지구 및 경제자유구역 무산 등으로 부침을 겪은 서울 용산구와 인천 중구는 전국에서 가장 낮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세종시는 지난해에 이어 시·도별 상승률 1위를 차지했지만 상승폭은 30%포인트 이상 줄어 점차 안정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종·영남 지역 강세 속 서울·수도권 주춤
국토교통부가 29일 발표한 개별공시지가를 보면 5년간 지속된 상승세 및 지방의 강세로 서울·수도권과 지방간 가격 격차가 점차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서울·수도권(3.23%)에 비해 지방 광역시(4.69%) 및 시·군(6.12%)의 상승폭이 높았다. 이는 지역간 가격 균형성을 높이려는 노력 등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올해 서울·수도권의 평균 지가(1㎡당)는 23만4116원으로 2010년(20만6927원)보다 11.3% 상승했다. 이에 비해 지방 광역시(14만1152원)와 시·군(1만1599원)은 각각 11.8%, 14.4% 올라 상승폭이 더 컸다.
시·도별로는 세종시가 전년 대비 16.87%로 가장 많이 올랐다. 정부청사 이전 등에 따른 각종 개발사업이 진행됐고 인구유입이 늘면서 기반시설 확충에 따른 토지수요가 증가하며 상승폭을 키웠다. 이어 울산(10.39%)·경남(7.79%)·경북(7.74%)·강원(5.89%) 등 순으로 상승폭이 컸다.
울산은 울산대교 건설 및 일산 재건, 우정혁신도시, 경부고속철도 역세권 개발 등이 호재로 작용했다. 경남은 거제 해양관광 테마파크, 경북은 국제관광섬 개발 등이 추진 중이다.
시·군·구별로 보면 울릉군은 전년 대비 33.14%나 상승했다. 일주도로 개설 및 해양연구센터 건립, 해양관광단지 조성 사업이 지가 상승을 견인했다. 이어 경북 예천군(21.05%), 세종시. 경북 청도군(16.44%), 울산 동구(16.06%) 등 순이다.
충남 계룡시(-0.38), 광주 동구(-0.23%), 인천 중구(-0.07%)는 전년보다 개별공시지가가 하락했다. 서울 용산구와 인천 연수구는 각각 0.25%, 0.64% 상승하는 데 그쳤다.
특히 인천의 하락세가 눈에 띈다. 올해 아시안게임을 앞두고 건설이 한창이고 지하철 7호선 연장개통 및 인천지하철 2호선 공사 등이 호재였지만, 영종도 경제자유구역 해제 및 용유-무의 관광단지 조성사업 무산 등이 상승세를 저해했다.
◆표준지와 대동소이, 지가변동과는 차이
올해 개별공시지가는 2월 발표한 표준지 공시지가와 상승폭은 차이가 있지만 강세·약세 지역은 크게 다르지 않았다.
표준지 공시지가는 전년 대비 3.64% 올랐으며 세종(18.12%)·울산(9.71%)·경남(6.86%)·경북(6.62%)·전남(5.22%) 등 순으로 상승폭이 컸다. 시·군·구별로는 울릉군(26.30%)·전남 나주시(19.79%)·세종·예천군(17.84%)·청도군(14.89%) 등 순으로 올랐다.
전국 평균 상승폭은 개별지가 0.43%포인트, 울릉·예천·청도군 등도 약 2~7%포인트 가량 상승폭이 컸다. 국토부 부동산평가과 관계자는 이에 대해 “개별지는 표준지 가격을 기준으로 산정·심의하는데 필지별 면적에 따라 가중되는 방식을 적용해 개발호재 등이 포함되기 때문에 표준지보다 높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국토부가 한국감정원을 통해 매월 조사·발표하고 있는 지가 변동률과는 차이가 있었다.
온나라부동산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세종시 지가는 5.498% 올라 가장 높은 상승폭을 기록했다. 이어 경기도 하남시(3.778%)·예천군(3.075%)·서울 송파구(3.009%)·강남구(2.619%)·대구 달성군(2.61%) 등 순이다. 영남 지역이 강세인 개별공시지가와는 다소 달랐다.
감정원 부동산공시처 관계자는 “공시지가는 개발호재 등을 반영해 해당 시점의 가격을 매기지만 지가 변동률은 지가 동향을 살피는 것으로 목적이 다르다”며 “지가 변동률 표본은 5만7000여개로 개발사업 등으로 토지 용도가 변경될 경우 표본에서 빠지게 돼 개발호재도 제대로 반영되지 않는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