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권경렬 기자 = 총 6조원 규모의 태국 물사업이 현지 쿠데타로 인해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태국 군부가 물사업을 전면 재검토한다는 입장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물사업을 주도적으로 수주한 K-water(한국수자원공사)는 사업이 전면 취소되진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10일 현지 언론인 더네이션과 방콕포스트에 따르면 지난 9일 태국 군부 최고기관인 국가평화질서회의(NCPO)가 지난해부터 잉락 정부가 추진해 오던 전국 규모 물관리 사업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사업 계획을 원점에서 재검토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NCPO 부대변인인 윈타이 수바리 대령은 "(물관리 사업을)전면 취소하는 게 아니라 계획을 재검토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일각에서는 K-water가 수주한 태국 물사업이 차질을 빚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K-water는 "문제없다"는 입장이다.
K-water 관계자는 "쿠데타로 정부가 바뀌었다 하더라도 국가의 대외 신인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사업 자체가 전면 취소되지 않는 한 사업자가 변경될 가능성은 낮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태국 물관리 사업은 고질적인 홍수 피해와 건기 시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3500억바트(약 11조원)를 들여 추진한 대규모 프로젝트다.
K-water는 지난해 6월 1630억바트(약 6조2000억원) 규모의 방수로·임시저류지 등 2개 분야에서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이는 전체 태국 물관리 사업비인 11조원의 56%에 해당한다. 국내 건설사 중 현대건설·대우건설·대림산업·GS건설·삼환기업이 컨소시엄으로 참여했다.
당초 K-water 컨소시엄은 지난해 9월 태국 정부와 최종 계약을 마무리할 계획이었지만 현지 환경단체가 "물관리 사업 절차에 위법이 있다"며 소송을 제기해 미뤄졌다. 지난해 말부터 올해 초까지 현지주민 공청회가 진행됐고 결과에 따라 계약이 이뤄질 예정이었으나 현지 정부와 군부의 소요 사태로 인해 사업 진행이 중단됐다.
다만 쿠데타로 인해 정부 계약 당사자가 축출된 만큼 어느 정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개발도상국과 계약할 때는 비공식적으로 리베이트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며 "계약 당사자가 바뀌게 되면 리베이트 자체가 없던 일이 돼 새 정부가 어떻게 나올 지는 미지수"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