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이수경 기자 = 기준금리가 13개월째 동결됐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12일 본 회의를 열고 이달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연 2.50%로 유지하기로 했다.
금통위는 지난해 5월 금리를 0.25%포인트 내린 후 금리를 계속 묶어두고 있다. 부진한 경기 상황과 불확실한 대외 여건이 맞물린 영향이다.
위와 같은 경제 상황은 이 달에도 이어지는 양상이다. 게다가 지난 4월 중순 발생한 세월호 참사의 여파로 소비심리와 민간소비 위축이 확인됐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앞서 기준금리 방향에 대해 인상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는 뜻을 시사한 바 있다. 그러나 지금의 경제환경은 섣불리 금리를 인상하기 어렵다는 게 시장의 분석이다.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지난 4월 전체 산업생산은 전월보다 0.5% 감소했다. 광공업생산과 건설업은 각각 0.1%와 6.9% 증가했고, 설비투자도 2.6% 늘었다.
반면 서비스업 생산은 1.0% 줄었고 소매판매 역시 1.7% 감소했다. 세월호 참사의 여파로 인해 소비 부문의 부진이 두드러졌다는 설명이다. 소비자심리지수도 4월 108에서 5월 105로 떨어지면서 8개월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대형 참사로 소비심리도 위축된 것이다.
지난달 수출은 연휴로 인한 조업일수 감소로 전년동기대비 0.9% 감소했다. 하루 평균 수출액은 22억3000만 달러로 역대 2위를 기록하며 양호한 수준을 보였다.
소비자물가는 전년동기보다 1.7% 상승했다. 1년 7개월만에 최대폭으로 상승한 수준이지만 여전히 한은의 물가안정목표 범위(2.5~3.5%)보다는 낮았다.
소비 부문을 중심으로 경기 회복 추세가 더뎌지면서 금리 조정에 나서기에 부담스러운 여건이 됐다. 소비자물가 수준과 가계부채 등도 금리 인상의 발목을 잡는다.
가파르게 하락하고 있는 환율도 통화정책 결정에 있어 고려해야 할 대상이다.
미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지난달 초 1030원대에서 한 달만에 1010원선까지 내려앉았다. 경상수지 흑자와 글로벌 자금 유입 등이 배경이 됐다. 세 자릿수로 떨어지는 것은 시간문제라는 전망이 나온다.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원화 강세는 더욱 가속화될 수 있다. 하지만 원화 가치가 계속 급등하면 국내 수출기업은 가격 경쟁력에서 밀려 타격이 크다. 자칫 성장동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주요 국가들의 금리 결정도 제각각이다. 최근 유럽중앙은행(ECB)은 기준금리를 0.25%에서 0.15%로 인하했고 영란은행(BOE)은 0.5%로 동결했다. 호주 중앙은행과 인도 역시 각각 기준금리를 2.5%와 8%로 동결했다.
한편 금융투자협회가 채권전문가 118명을 대상으로 이달 기준금리 결과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 전원(100%)이 '동결'을 예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