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2020년 국내 인터넷 데이터 8,470억 기가바이트 '한라산 높이 9,640배'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6-12 17:0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한국EMC, 대한민국 디지털 데이터 양 조사

아주경제 장윤정 기자 = 대한민국에서 센서 기반의 ‘사물 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T)’이 생성하는 디지털 데이터가 급증하고 있으며, 한국 기업은 고부가가치 데이터의 활용에 주력함으로써 기업 성장을 위한 새로운 기회를 얻게 될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EMC(대표 김경진)는 IT 시장조사기관인 IDC과 함께 ‘EMC 디지털 유니버스 보고서(IDC Digital Universe Study): 대한민국 디지털 데이터’ 연구 결과를 10일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는 올해 5월에 발표된 전세계 디지털 데이터 양을 산출한 ‘EMC 디지털 유니버스 보고서’의 한국판으로, 대한민국에서 생성된 디지털 데이터의 양을 최초로 조사해 발표했다.

보고서는 한국의 디지털 데이터 양을 증가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센서 기반의 사물 인터넷 기술 발전을 꼽았다.

보고서는 한국의 경우, 전체 디지털 데이터 중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임베디드 디지털 기기가 생성하는 양이 2013년 2%에서 2020년 10% 선까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측했다. 또한, 디지털 데이터의 양이 빠르게 늘어나는 만큼, 한국 기업은 급증하는 디지털 데이터 중 고부가가치를 내재한 데이터를 비용 효율적으로 선별, 분석, 저장, 관리 및 보호하는 데 주력해야 할 것이라 내다봤다.

특히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디지털 임베디드 기기 수가 증가하고 사물 인터넷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한국의 디지털 데이터 양은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견되고 있다.

2013년 한국에서 생성된 디지털 데이터 양은 930억 기가바이트(GB)이며, 2014년에는 1,360억 기가바이트(GB), 2020년에는 8,470억 기가바이트(GB)까지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2013년 한국에서 생성된930억 기가바이트(GB)를 대당 128 기가바이트(GB) 용량을 보유한 태블릿에 저장해 쌓아 올리면, 이는 한라산 높이(1,950m)의 1,058배에 달한다. 이는 전세계에서 생성된 디지털 데이터 4.4조 기가바이트(GB)의 2.1%에 해당되는 양이다.

한국 시장은 높은 인터넷 활용률, 스마트폰 및 소셜 네트워크 확산, UHD 기술 발전 등이 디지털 데이터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또한, 2020년까지 기가급 모바일 인프라를 구축하고 5G 이동 통신을 지원하는 ‘기가 코리아 프로젝트’도 디지털 데이터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예측됐다. 

한국EMC 김경진 대표는 “디지털 데이터는 개인의 일상뿐 아니라 기업의 비즈니스도 변화시키고 있다. 신생 기업의 부각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만드는 산업 변화의 중심에는 디지털 데이터가 자리잡고 있다"며 "디지털 데이터가 제공하는 새로운 기회를 활용하고 위험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기업들은 최신 기술 활용을 통한 비즈니스 혁신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한민국의 디지털 데이터 양(GB)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