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축구를 진작시키는 것이야 말로 국가의 권위를 높이는 대국굴기(大國崛起)를 실현하는 방법이라 말할 정도로 중국에 있어 월드컵 진출은 무엇보다 이뤄내기 힘든 국가적 목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전 세계 실전 패권경쟁에서만큼은 위협적 공격수인 중국은 최근 동아시아를 무대로 공격적인 대외외교 플레이를 펼치면서 ‘중국위협론’에 대한 우려감을 키우고 있다.
한때 가난하고 나약했던 근대 중국사회를 의미하는 동아병부(東亞病夫)라는 꼬리표를 달고 있었던 중국은 시진핑(習近平) 주석의 진두지휘 하에 19세기 제국주의 열강의 침략 전 중국의 위상을 복권하기 위해 동아시아로부터 중국의 영향력 회복에 나서고 있다.
중국은 최근 남중국해 파라셀 군도에 원유 시추시설을 건설하고 남중국해 존슨 산호초에 활주로 구조물을 건립하면서 베트남, 필리핀과 첨예한 영토분쟁을 벌이고 있다. 아울러 동중국해 센카쿠 열도를 두고 일본과도 침봉상대의 갈등 형국을 재현하는 등 거침없이 남중국해와 동중국해를 잠식하고 있다.
전 세계를 무대로 중국이 펼치고 있는 외교경기 전략은 ‘스피드와 압박수비’다. 미국의 입지가 좁아진 틈을 공략해 빠른 속도로 동아시아를 압박해 나가고 있으며, 미국-일본의 동맹전략에 맞서 러시아와 손잡고 미국의 일극체제에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
현재 중국의 행보를 볼 때 '잠에서 깨어난 사자' 중국이 온화한 문명의 사자에서 포악한 사자로 변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다음달 초 시 주석의 방한을 앞두고 있는 지금, 중국이 펼칠 외교전략에 현명하게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때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