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문위원회가 사업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지만 주관부처인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원안대로 사업을 밀어붙이고 있기 때문이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올초 총6846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오는2025년까지 송도주변에 해수로를 파고,마리나 및 인공해변을 만드는등 ‘송도워터프론트 사업’을 펼쳐 송도를 세계적인 국제 해상명소로 만들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발표했다.
사업비는 경제자유구역내 도로(5만157㎡) 및 공원부지(65만6308㎡)를 축소해 남는 토지를 일반상업용지,근린생활시설용지,주택용지등으로 전용해 매각해 마련하겠다는 구체적인 자금계획까지도 밝혔다.
땅을 팔아 사업비를 마련하겠다는 자금조달 계획과, 현재 재정난에 시달리면서도 과도하게 사업에 큰 예산을 투입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는 의견이었다.
이후 인천경제청은 사업의 규모를 약간 축소하기는 했지만 계획의 큰틀에서는 전혀 변화없이 올해안으로 착공에 들어가겠다며 인천시의회에 공사의 실시설계와 용역비를 올해 추경예산으로 요구할 계획이다.
하지만 자문위원들의 반대가 만만치 않자 인천경제청은 현재 반대를 하고 있는 자문위원들을 중심으로 개별 설득작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관련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이번 계획은 송도를 국제적인 해안도시로 만들 수 있는 좋은 기회인 만큼 계획을 꼭 성사시키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일부자문위원들의 반대와 이문제에 대해 아직 업무보고조차 받아보지 못한 유정복인천시장당선인의 의지가 확인되지않아 향후 사업성사의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