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현대건설·삼성물산·대우건설 등 시공능력평가 상위 10위 건설사의 올해 상반기(일부는 1∼5월) 수주실적을 조사한 결과 수주 목표액의 50% 이상을 달성한 곳은 2곳 뿐이었다.
나머지 8개사는 목표대비 수주 달성율이 20∼30%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시공능력평가 1위인 현대건설의 경우 지난 5월말까지 수주한 공사금액은 총 3조365억원이었다. 연초 수립한 올해 수주 목표액(16조원) 대비 19%에 불과하다.
올해 15조원의 수주 목표를 수립한 대우건설은 5월말 현재 34%인 5조1545억원을 따냈다.
대우는 올해 쿠웨이트, 알제리 등에서 3조2849억원을 수주하며 해외에서 양호한 성적을 냈지만 국내 공공·민간공사(1조8696억원) 수주가 부진했다.
포스코건설은 6월 현재 수주액이 2조4000억원으로 수주 목표액(10조7000억원)의 22%를 달성했다. 해외 공사 수주액은 1조901억원이다.
대림산업은 올해 해외 1조8700억원을 포함해 6월 현재 3조5800억원의 공사를 수주했다. 이는 수주 목표액의 38% 수준이다.
한화건설(1조4100억원), 롯데건설(2조1000억원), 현대산업개발(7892억원) 등도 올해 수주 목표대비 실적이 22∼34% 선에 그쳤다.
이에 비해 올해 상반기 해외수주 실적 1, 2위를 기록한 GS건설과 SK건설은 해외에서 각각 5조6505억원, 4조3000억원을 수주해 상반기 수주액이 각각 7조1925억원, 6조5328억원을 기록했다.
양사의 올해 수주 목표액은 GS건설이 14조원, SK건설이 12조원으로 이미 수주목표의 절반(GS건설 51%, SK건설 54%)을 넘어섰다.
이처럼 상반기 대형 건설사의 수주실적이 저조한 것은 국내 공공공사 수주 부진이 이유로 꼽힌다.
대형 건설사들은 최근 공정거래위원회가 공공공사에 대한 담합 조사를 전방위에 걸쳐 진행하면서 공공공사 입찰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현대건설은 5월 말까지 공공공사 수주액이 2423억원으로 연간 목표치(1조7453억원)의 14%에 그쳤다.
대우건설도 연간 목표액(1조240억원)의 23%인 2332억원을 수주한 것으로 나타났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