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일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25일 발표한 '가계부채의 위험에 대한 이해와 위험 관리 체계의 설계방향'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김 연구위원은 "우리나라의 소득 대비 부채 규모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 국가와 비교해 높은 편이고 부채 증가 속도 역시 소득보다 빠르다"면서 "가계부채가 소비와 성장잠재력을 약화시키는 임계치에 도달했다"고 진단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중이 85%에 달하면 위험 수준으로 볼 수 있고 2013년 현재 우리나라의 GDP(신기준) 대비 가계부채 비중은 85.6%다.
그는 금융권역별 재무 건전성 점검 결과, 은행권 차입가구의 부실 위험은 제한적이지만 비은행권 차입 가구의 부실 위험은 비교적 큰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며 이 부분에 대한 지속적인 점검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 연구위원은 또 소득 하위 40%에 속한 부채가구의 부채액 비중이 전체의 10% 정도여서 금융안정성 측면의 위험은 낮은 편이지만 저소득가구의 부채비율과 부채상환비율, 연체율이 높아 사회적 안정성 측면에서 우려가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이에 따라 저소득 한계 차주에 대한 지속적인 점검 및 대출 건전성 개선 노력을 진행하고 개인 채무 불이행자의 경제적 재기를 지원하기 위한 구제제도를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김 연구위원은 자산과 부채의 유동성 불일치도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그는 우리나라의 전형적인 부채가구는 유동성이 매우 낮은 부동산에 편중된 자산구조를 갖고 있고 부채 구성은 일시상환대출 비중이 높아 대출 만기 때 차환위험이 증폭될 가능성이 있다면서 단기·일시 상환대출을 중·장기 분할상환대출로 전환하는 것으로 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연구위원은 부채 축소 등 가계부채의 연착륙 추진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자산시장의 하락 압력 등 부작용을 최소화할 필요도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와 함께 가계부채 위험 관리를 하면서 위기가 아닌 상황에서 위기 대응책을 모색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가계부채에 대한 막연한 우려보다는 주어진 상황을 객관적으로 평가해 상황별로 적합한 대응 방안을 수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우리나라 가계부채 대부분이 소득과 순자산이 많은 가구들을 중심으로 분포돼 있고 상당수 부채 가계의 소득 및 순자산 기준 상환 여력도 비교적 양호하다면서 이는 주택담보대출인정비율(LTV) 규제가 주요했던 때문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