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07/03/20140703112553837869.jpg)
아주경제 채명석 기자 = 올 상반기 전 세계 상선 수주량이 전년 동기 대비 17% 감소하면서 한국이 가장 많은 영향을 받으며 점유율이 30% 아래로 떨어졌다.
영국 조선·해운 분석기관인 클락슨 리포트에 따르면 상반기(1~6월) 전 세계 수주량은 2048만CGT(표준화물선환산톤수)로, 전년동기 2473만CGT 대비 약 17% 가량 감소했다.
1~2월 부진한 모습을 보이던 중국은 3월부터 수주시장 싹쓸이에 나서면서 총 909만CGT를 수주, 한국의 555만CGT 보다 약 64% 가량 더 많이 수주했다.
점유율 측면에서도 중국은 작년 동기간 39.9%에서 44.4%로 증가한 반면, 한국은 31.8%에서 27.1%로 감소했다.
일본은 345만CGT로 전년동기 19.0%에서 16.8%로 줄었다. 하지만 엔저를 앞세운 일본이 수주시장에서의 영향력을 키워나가고 있는 점은 한국 조선업계에는 우려스러운 상황이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07/03/20140703112635455370.jpg)
실제로 6월 한달간 수주실적의 경우 중국이 90만 CGT를 수주하며 47.7%의 점유율을 기록한데 이어 일본이 49만CGT(25.9%)로 2위, 한국은 31만 CGT(16.6%)로 3위를 기록했다. 한국이 월별 수주실적에서 일본에 밀린 것은 지난 4월에 이어 올 들어 두 번째다. 물론 1개월 수주량 만으로 전체 수주 실적을 전망할 수는 없지만 일본 조선업계가 서서히 수주량을 늘려나가고 있다는 점은 주목해 볼 만한 대목이다.
전 세계에서 6월 동안 발주된 선박은 91척, 189만CGT로 전월 대비 75만CGT 감소했다. 월별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은 지난 해 12월 794만 CGT를 정점을 찍은 이후 6개월 연속으로 줄어들고 있다.
또한 6월말 현재 전 세계 수주잔량은 5274척, 1억1227만CGT로, 올 들어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될 경우 일감 부족에 허덕이는 조선소들의 대규모 추가 구조조정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07/03/20140703112713154779.jpg)
한편, 5월 클락슨 선가지수는 140 포인트로 2011년 10월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6월 주간 선가 추이를 볼 때 전월 대비 하락 및 보합세를 보이고 있어 상승 흐름이 일단 꺾인 것으로 분석됐다.
유조선 시장에서는 초대형원유운반선(VLCC)이 5월 말 대비 100만 달러 하락했고, 케이프사이즈 벌크선 및 1만3000TEU(1TEU는 20피트 길이 컨테이너) 컨테이너 선도 5월 말 대비 50만 달러 하락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