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래부 로고]
아주경제 김봉철 기자 = 미래창조과학부는 ‘2014년 스마트미디어X 캠프’를 통해 14개 벤처 및 중소개발사들의 신규 스마트미디어 서비스를 발굴했다고 3일 밝혔다.
지난달 24~25일 양일 간 코바코 연수원에서 진행된 X캠프는 총 61개 벤처·중소개발사들이 스마트미디어 신규 서비스 분야와 스마트미디어 양방향 기술 분야로 나뉘어 자신들의 창의적 아이디어와 서비스 기획안·기술을 발표했다.
이번에 발굴된 서비스는 △국내 및 해외대상 동영상 미디어 송출 통합 지원 플랫폼 서비스(레드랩) △스마트미디어를 활용한 여론조사 서비스(지니프릭스) △채널전환 공간을 활용한 광고서비스(재플) △채널연계형 다기능 방송(에어코드) △소셜러닝기반 지식강연 서비스(마이크임팩트) △스마트미디어를 활용한 모바일게임방송 허브 서비스(블루윈드) △음파를 이용한 T커머스(사운들리) 등이다.
이들은 12개 플랫폼사와 신규 미디어 서비스 상용화를 위한 컨소시엄 후보군을 만들고 오는 14일까지 개별협상을 거쳐 서비스 상용화를 위한 최종 컨소시엄을 구성하게 된다.
미래부는 최종 구성된 컨소시엄 중 평가를 통해 선정된 6개 서비스에 대해서는 한국정보화진흥원(NIA)의 ‘스마트미디어 상용화 시범 사업’으로 선정하고 서비스당 1억원 내외로 지원할 예정이다.
박윤현 방송진흥정책관은 “X캠프를 통해 창의적 아이디어를 갖고 있는 다양한 미디어 벤처 및 중소개발사들이 미디어 생태계에서 육성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예정”이라며 “스마트미디어 생태계를 활성화시키고 미디어의 다양한 신규 서비스를 통해 방송 산업 전체의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지난달 24~25일 양일 간 코바코 연수원에서 진행된 X캠프는 총 61개 벤처·중소개발사들이 스마트미디어 신규 서비스 분야와 스마트미디어 양방향 기술 분야로 나뉘어 자신들의 창의적 아이디어와 서비스 기획안·기술을 발표했다.
이번에 발굴된 서비스는 △국내 및 해외대상 동영상 미디어 송출 통합 지원 플랫폼 서비스(레드랩) △스마트미디어를 활용한 여론조사 서비스(지니프릭스) △채널전환 공간을 활용한 광고서비스(재플) △채널연계형 다기능 방송(에어코드) △소셜러닝기반 지식강연 서비스(마이크임팩트) △스마트미디어를 활용한 모바일게임방송 허브 서비스(블루윈드) △음파를 이용한 T커머스(사운들리) 등이다.
이들은 12개 플랫폼사와 신규 미디어 서비스 상용화를 위한 컨소시엄 후보군을 만들고 오는 14일까지 개별협상을 거쳐 서비스 상용화를 위한 최종 컨소시엄을 구성하게 된다.
박윤현 방송진흥정책관은 “X캠프를 통해 창의적 아이디어를 갖고 있는 다양한 미디어 벤처 및 중소개발사들이 미디어 생태계에서 육성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예정”이라며 “스마트미디어 생태계를 활성화시키고 미디어의 다양한 신규 서비스를 통해 방송 산업 전체의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