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07/04/20140704101425704564.jpg)
[아주경제 DB]
특히 그가 연루됐다고 의혹을 받고 있는 철도 납품과 관련해 수사가 진행 중이어서 수사결과를 지켜봐야 한다는 신중한 입장을 나타냈다.
일각에서는 이미 조사가 다 진행된 사안을 놓고 관피아 논란에 따라 강압수사를 벌인 것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됐다.
4일 경찰에 따르면 김 전 이사장은 이날 새벽 3시 30분께 서울 광진구 자양동 잠실대교 전망대에서 투신했으며 약 2시간 후 시신을 발견해 인양했다.
국토부 한 공무원은 “아무리 그래도 어떻게 그런 생각을 할 수 있느냐”며 “믿기지 않는다”고 안타까워했다.
다른 공무원은 “철도공단 이사장 당시 직원들과 마찰을 빚기는 했지만 국토부 재직 시절부터 워낙 자기 관리가 철저해 비리에 관여했다는 사실이 믿기 힘들다”며 강압수사에 따른 부담감 등으로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 아니냐는 의견도 나왔다.
단 수사결과에 대해서는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국토부 철도건설과 관계자는 “해당 호남선 AVT 납품과 관련한 승인에 해서는 규정에 어긋난 것이 없다고 결론 난 바 있다”면서도 “납품 과정에서 벌어진 비리 의혹 등은 수사결과를 봐야하고 이에 대해 국토부가 관여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라고 전했다.
올 1월까지 김 전 이사장이 이사장으로 있던 철도공단은 비교적 담담한 반응이다. 개인의 죽음에 대해서는 안타깝지만 개인적인 수사는 관여할 수 없고 수사결과를 지켜볼 뿐이라는 분위기다.
김 전 이사장은 2011년 철도공단 이사장 취임 이후 과도한 업무 지시 및 징계 등으로 직원들과 큰 마찰을 빚었다. 결국 올 1월에는 임기를 몇 개월 남겨두고 중도 사임하기도 했다.
철도공단 관계자는 “전 이사장과 관련된 일이고 회사에 친한 사람도 많이 없었던 걸로 안다”며 “조기 사임 이유도 직원에 대한 과도한 징계에 따른 갈등 때문이지 이번 일과는 관계 없다”고 이야기했다.
다른 관계자는 “ATV 관련된 의혹은 숱하게 보도됐고 현재 검찰이 수사 중이어서 아는 바가 없다”며 “수사결과를 지켜보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